미국인 3명 중 2명은 조 바이든 대통령의 국정 성과를 체감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2년간의 입법 성과와 경제 회복을 발판으로 재선 출마를 공식화한다는 계획이지만 민심과의 괴리가 커 고심이 커졌다.
워싱턴포스트(WP)와 ABC방송은 ‘바이든 대통령 취임 이후 그의 성과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미국 등록 유권자 62%는 ‘거의 또는 별로 성과를 내지 못했다’고 답했다고 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상당하거나 큰 성과를 냈다’는 응답자는 36%에 그쳤다.
바이든 대통령 성과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는 공화당 지지자(93%)뿐 아니라 무당층(66%)에서도 높게 나타났다.
바이든 대통령이 강조하고 있는 일자리 창출과 인프라법·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제정에 따른 경제 성과에도 미국인들의 체감도는 낮았다. 구체적으로 응답자 60%는 ‘우리 지역에 더 많은 일자리를 만들지 않았다’ ‘도로나 다리를 개선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바이든 정부가 전기차를 좀 더 저렴하게 만들었다’는 항목에도 56%가 ‘아니다’라고 답했다.
바이든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율은 42%로 부정 평가(53%)보다 11% 포인트 낮았다. 경제(37%), 이민자 문제(28%), 러시아의 전쟁(38%) 등 핵심 이슈에 대한 평가가 특히 저조했다.
바이든 대통령이 미국의 미래를 위해 옳은 결정을 내릴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는 68%는 ‘조금 또는 별로’라고 답했다. ‘아주 또는 상당히 신뢰한다’는 답변은 31%에 그쳤다.
바이든 대통령 성과에 대한 의구심은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 대선 당시(52%) 때보다 높다. WP는 “재선에서 패배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에 대한 부정평가와 거의 비슷하다”고 평가했다.
미국인 10명 중 4명(41%)은 바이든 대통령 집권 이후 재정적 여유가 없어졌다고 답했다. 이는 1년 전(35%)보다 6% 포인트 증가한 수치로, 관련 조사를 시작한 1986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라고 WP는 전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27일부터 지난 1일까지 미국 등록 유권자 1003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바이든 대통령은 7일 의회 상·하원 합동회의 국정연설을 통해 집권 후반기 구상을 밝히면서 자신의 입법 성과를 강조할 계획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최근 주요 인프라 건설 현장을 돌며 국정 성과를 홍보해 왔다. 이를 통해 민주당 차기 대선주자로서의 입지를 분명히 하겠다는 계획이다. CNN은 바이든 대통령이 국정연설 직후 재선 캠페인을 공식 발족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국정성과에 대한 민심 이반이 큰 것으로 나타나면서 민주당의 우려가 커졌다. 특히 전날 나온 여론조사에서 민주당 지지층과 민주당 성향 무당층 58%는 바이든 대통령이 아닌 다른 사람이 민주당 차기 대선 후보가 돼야 한다고 답했다. 45세 이상 민주당 지지층에서도 그의 재선 지지 응답은 49%로 절반에 못 미쳤다. 45세 미만 민주당 지지층은 23%만 재선을 지지해 젊은 층 이탈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훌리안 카스트로 전 텍사스주 샌안토니아 시장은 “트럼프와의 재대결 주자로 바이든에 만족한다는 것이 민주당의 일반적인 생각이었지만 이번 여론조사는 바이든의 핵심 주장을 약화한다”고 지적했다.
워싱턴=전웅빈 특파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