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머스크, 트위터 인수 전망 어두운 이유는.. '워런 버핏 흉내?'

트위터를 인수하겠다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제안은'투자의 현인' 워런 버핏의 전략과 비슷해 보이지만 성공하기 어려울 수 있다고 로이터통신이 어제(14일) 분석했다.

로이터에 따르면 머스크는 인수 가격을 제시하면서 자신의 제안은 최선이자 최종 제안이라고 말했다.

버핏의 '받아들이든지 말든지 알아서 하라'는 전략을 따른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머스크의 전략이 성공하려면 가격을 대폭 높이고 자금 조달에 관한 세부 내용을 밝혀야 한다고 투자은행 업계 등에서는 지적한다.

이들은 머스크가 입장을 뒤바꾼 전력도 그에게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버핏은 자신의 투자사 버크셔 해서웨이를 통해 가격을 한 차례만 제시하고 협상을 거부하는 방식으로 대규모 인수합병을 성사시킨 것으로 잘 알려졌다.

그는 이런 식으로 최근 미 보험회사 앨러게이니를 116억달러(약 14조3천억원)에 인수하기로 했고, 2016년 항공부품업체 프리시전 캐스트파츠를 370억달러(약 45조5천억원)에 인수했다.

버핏의 제안에 대해 인수 대상 회사들은 합당하다고 여겼으며 인수 자금 문제도 없었다.

반면 머스크가 제시한 가격은 너무 낮다는 것이 시장의 반응인데다 자금에 대한 정보도 불투명하다.

로런스 커닝햄 조지워싱턴대 법학 교수는 워런 버핏은 60년간 40건 넘는 기업 인수에서 그가 말한 것은 그대로 한다는 것을 보여줬다며반면 머스크는 믿을 수 없으며 신뢰성이 없다고 평가했다.

앞서 머스크는 테슬라 상장폐지 계획을 백지화한 적이 있다.

머스크는 지난 2018년 테슬라를 상장 폐지하려고 검토 중이라면서 자금은 확보했다고 트위터에서 밝혔다.

당시 머스크가 테슬라 지분을 매입하는 데는720억달러(약 88조5천억원)가 필요했다.

하지만 머스크는 테슬라를 비상장회사로 만들겠다는 계획을 실행하지 않았으며, 이에 미 증권거래위원회(SEC)는 머스크가 투자자를 속였다고 고소했다.

결국 머스크와 테슬라는 각각 2천만달러(약 246억원)의 벌금을 냈고 머스크는 테슬라 이사회 의장에서 물러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