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인권단체들이 최근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행보와 관련해 “강추위 속에서 수많은 군인과 주민들을 동원해 열병식을 개최할 것이 아니라 이들의 식량난부터 우선 해결해야 한다”고 지적했다고 10일 자유아시아방송(RFA)이 보도했다.
국제앰네스티는 RFA에 메일을 보내 “북한이 과시적인 열병식을 준비하고 있지만 북한 주민의 40% 이상이 광범위한 식량 불안 속에서 영양실조에 시달리고 있다”며 “북한에서의 인권 유린 행위 규모와 심각성은 국제 사회의 관심을 요구한다”고 밝혔다.
영국에 본부를 둔 세계기독교연대(CSW)는 “김정은이 주민들의 안위보다 통제를 선호하고 세계를 위협하는 데 더 신경을 쓰고 있다”면서 “열병식은 김정은이 고조되는 북한의 식량 위기를 해결하기보다 군사비 지출을 선택한 또 다른 예”라고 비판했다.
CSW는 한 연구기관이 북한의 지난해 미사일 발사비용이 5억6000만 달러(약 7000억원)를 넘을 것으로 추정했다며 “북한의 예상 식량 부족액은 4억1700만 달러(약 5200억원)로 김정은이 주민들을 먹여 살리고 싶다면 그렇게 할 수 있었다”고 지적했다.
휴먼라이츠재단은 “평양 김일성광장에서 열린 대규모 열병식은 북한 독재정권의 잔혹성을 확인시켜 준다”며 “인구의 40% 이상이 만성 영양실조로 고통받는 나라에서 영하 기온 속에 장시간 많은 군중을 군사 퍼레이드에 참석하도록 강요하는 것은 혐오스러운 일”이라고 비난했다.
재단은 “북한 정권은 대량살상무기 개발에 막대한 자원을 쓰고 그런 쇼를 개최하는 대신 주민들이 기본적으로 필요한 것들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촉구했다.
서지영 인턴기자 onlinenews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