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북극에 웬 천둥번개… 55분 뇌우 관측, ‘신기록’


북극에서 관측 역사상 가장 긴 뇌우(雷雨·thunderstorm)가 기록됐다. 뇌우는 천둥·번개를 동반한 세찬 비를 뜻한다. 대기가 차고 건조한 극지방에서는 발생하는 것은 매우 이례적인 사례로 평가된다.

17일(현지시간) 시사주간지 뉴스위크에 따르면 러시아 북극남극연구소(AARI)는 지난해 7월 북극에서 뇌우가 55분간 지속된 사례를 관측했다.

AARI는 보도자료에서 북극 뇌우를 처음 관측한 때는 2019년으로, 당시엔 40분간 뇌우가 지속됐다고 설명했다. 2021년에는 각각 40분, 25분짜리 뇌우가 관측된 바 있다고 덧붙였다.

뇌우는 습기가 많은 공기가 높은 온도로 상승하면서 발생한다. 지속시간은 수 분에서 수 시간까지 매우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30분 정도 유지되는 것이 보통이다. 또 대기가 차고 건조한 극지방에서는 발생하는 일이 매우 드물다.

미국 매사추세츠 우드웰 기후연구소의 제니퍼 프랜시스 선임연구원은 뉴스위크에 “뇌우가 형성되려면 온난하고 습윤한 공기가 필요한데 북극에는 둘 모두 흔치 않다”고 설명했다.

뇌우뿐 아니라 북극에서 번개도 더욱 자주 관측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술지 지구물리학연구에 2021년 게재된 연구를 보면 2010년부터 2020년 사이에 북극점을 기준으로 690마일(1110㎞) 범위에서 번개의 빈도가 급속도로 증가했다. 특히 2021년 한 해 동안 발생한 번개는 이전 9년 동안 발생한 번개를 합친 규모와 비슷한 수준이다.

이 같은 이상 기후는 북극 대기 상태의 급격한 변화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프랜시스 선임연구원은 “북극은 지구 전체와 비교했을 때 평균기온 상승 속도가 3∼4배에 이른다. 여기에 북극을 포함해 전 세계의 대기 내 수증기도 약 4%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며 “이런 온난화와 습도 증가가 뇌우 형성의 핵심 요소가 됐다”고 진단했다

노혜진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