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중국 “러시아와 우크라 직접 대화해야”…‘중재’ 시도


중국 정부가 우크라이나 전쟁 1주년을 맞은 24일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의 대화를 촉구하고 핵무기 사용 및 핵 위협에 대한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중국 외교부는 이날 ‘우크라이나 위기의 정치적 해결에 관한 중국 입장’이라는 제목의 문서를 발표했다.

중국은 이날 입장문에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최대한 빨리 직접 대화를 재개하고, 점차적으로 정세를 완화해 최종적으로 전면 휴전에 도달하는 것을 지지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대화와 협상은 우크라이나 위기를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이라며 “국제사회는 화해를 권유하고 협상을 촉진하는 올바른 방향을 견지해 분쟁 당사국이 하루빨리 위기를 정치적으로 해결할 물꼬를 트도록 도와 협상 재개의 여건과 발판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그러면서 중국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의 권한 위임을 거치지 않은 모든 형태의 독자 제재에 반대한다”며 미국과 유럽의 대러시아 석유 금수 등 제재 중단을 촉구했다.

중국은 이와 함께 산업망과 공급망 안정 보장, 곡물 수송 보장, 원전 안전 수호, 민간인과 전쟁 포로 보호, 인도주의적 위기 해결, 전후 재건 추진 등을 촉구했다.

12가지 제안으로 구성된 이 문서에서 중국은 각국 주권과 독립, 영토 완전성 보장, 유엔 헌장 취지 준수, 냉전사고 버리기, 각국의 합리적 안보 우려 존중 등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이번 입장 표명은 중국이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지켜온 ‘중립’ 기조를 반영한 것으로 평가된다. 서방이 중국의 대러 무기 지원 가능성을 끊임없이 견제하는 상황에서 ‘중립적 평화 촉진자’를 추구한다는 메시지를 보낸 것이다.

왕이 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도 지난 14∼22일 유럽·러시아 방문 일정을 마친 뒤 중국 중앙 매체들과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다른 나라들과 마찬가지로 충돌의 확대와 장기화를 우려한다”며 “중국 입장은 한마디로 화해를 권하고 협상을 촉진하는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백재연 기자 energ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