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북한의 핵과 미사일 개발 자금을 지원한 북한 관련 기관 3곳과 개인 2명을 추가 제재했다. 유명 영화배우 조지 클루니가 과거 대북 제재 위반 사실을 폭로했던 단체가 포함됐다.
미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OFAC)은 1일(현지시간) 불법 외화벌이를 해온 북한 칠성무역공사와 조선백호무역공사, 아프리카 현지 법인 등 3개 기관과 북한 정권과 노동당의 수익 창출 활동에 종사해온 북한 국적자 황길수, 박화성 등 2명을 제재대상으로 지정했다고 밝혔다.
재무부는 칠성무역공사가 북한 정권에 속한 무역회사로 외화벌이에 나섰고, 정보요원들을 직원으로 위장 고용해 외국에서 정보를 수집해왔다고 설명했다. 조선백호무역공사는 북한 인민무력부 산하 기관으로, 1980년대부터 중동과 아프리카 지역에서 예술 및 건설 프로젝트에 참여해 북한 정권에 자금을 조달해왔다.
황길수와 박화성은 아프리카 콩고민주공화국(DR콩고)에서 콩고아콘드SARL이라는 회사를 설립, DR콩고의 지방정부가 추진하는 건설 및 조각상 설립 프로젝트를 수주해 돈벌이에 나섰다. DR콩고 수도에 세워진 독재자 로랑 카빌라의 대형 동상 2개도 이들이 만든 것이다. 이들은 중심가 인근 공원 건설 수주도 따냈다.
콩고아콘드SARL은 이들 지시에 따라 카메룬 은행의 DR콩고 지점에 미국 달러화 계좌를 개설했다. 조지 클루니가 설립한 비영리 감시단체 ‘센트리’는 2020년 이들 기관이 건설사업으로 불법 외화벌이에 나선 사실을 지적하며 제재를 촉구하는 보고서를 발간했었다. 센트리는 이들이 해당 은행을 통해 자금 세탁을 한 뒤 달러를 북한으로 보낼 수 있었다고 지적했다.
한편 미국과 알바니아는 전날 한국을 포함한 60개국 지지 서명을 받아 북한 인권 문제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의제로 남겨둘 것을 요청하는 공동서한을 제출했다. 안보리 절차에 따르면 3년간 특정 의제에 관한 공식회의가 한 번도 열리지 않으면 해당 의제는 논의 대상에서 제외된다. 그러나 안보리 이사국 중 한 곳이라도 반대하면 논의를 계속할 수 있다.
유엔 안보리는 2018년부터 북한 인권 문제와 관련한 공식회의를 열지 않았다. 2018년과 2019년에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정상회담으로 무산됐고, 이후부터는 중국과 러시아 반대로 비공개회의만 열렸다.
워싱턴=전웅빈 특파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