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롱 코비드 겪은 사람, 사망이나 심장-폐 질환 위험 2배 이상 높아

롱 코비드를 겪은 사람이 사망이나 심장-폐 질환 등 중병을 앓을 위험이 코로나 19에 감염되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서 훨씬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롱 코비드는 코로나19 장기 후유증을 의미한다.

CNN은 대형 건강보험사 ‘엘레번스 헬스’(Elevance Health·예전 'Anthem')가 미국 의사협회 저널 네트워크(JAMA Network)에 이 같은 연구 결과를 게재했다고 보도했다.

엘레번스 헬스는 2020년 4월 1일∼2021년 7월 31일 사이 1년 3개월 동안 롱코비드를 겪은 성인 13,435명과 코로나19에 감염된 적 없는 성인 26,870명 등 두 그룹의 보험 청구 Data를 각각 분석해서 얻은 결과를 이번에 발표한 것이다.

그 Data 분석 결과 조사가 진행된 약 1년 3개월여 기간 동안에 롱 코비드 환자 그룹에 속한 사람들 중 2.8%가 사망했고, 코로나19 비감염자 그룹에서는 1.2%만이 숨진 것으로 파악됐다.

부정맥, 뇌졸중, 심부전, 관상동맥 등 심혈관 질환을 겪은 사례도 롱 코비드 그룹이 비감염자 그룹보다 2배 이상 많았다.

롱 코비드 그룹은 폐색전증 발병 사례가 비감염자 그룹에 비해 무려 3배 이상이나 높은 것으로 나타나 폐색전증 발병이 가장 많았다.

만성 폐쇄성 폐 질환(COPD)과 중증 천식도 2배에 달했다.

연방질병통제예방센터, CDC는 코로나19에 처음으로 걸린 뒤 약 4주가 지난 뒤에도 새로운 건강 문제가 발생하거나 예전 질환이 재발·지속하는 경우를 롱 코비드로 정의한다.

CDC는 앞서 18∼64세 사이 코로나19 생존자 20%, 65세 이상 생존자 25%가 이 같은 증상을 겪고 있다고 발표했다.

안드레아 데브리스 엘레번스 헬스 의료 서비스 연구 담당 부사장은 이번 연구의 주저자로 롱 코비드의 위험이 대단히 높다는 것을 강조했다.

안드레이 데브리스 부사장은 롱 코비드 후유증이 매우 심각하다며 피로, 두통, 주의력 장애 등을 유발할 수 있다는 건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라고 말했다.

안드레이 데브리스 부사장은 물론 이 같은 증상 자체도 문제지만 이번 연구를 통해 롱 코비드가 개인의 수명과 삶의 질에까지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이 걱정스러운 결과였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특히 코로나19에 감염됐다가 회복된 후 재감염될 경우 롱 코비드로 인한 질병을 앓거나 사망할 위험이 증가한다고 주장했다.

고령자, 여성, 흡연자이거나 체질량 지수가 높은 사람이 코로나 19에 감염될 때도 롱 코비드를 겪을 가능성이 커졌다.

CNN은 코로나19에 감염되기 전 백신 접종을 받았을 경우 롱 코비드에 시달릴 가능성이 작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