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끝끝내 사죄 표명 안한 일본… 기시다 총리 강한 지시 때문


일본 정부가 강제동원(징용) 배상 문제에서 직접적인 사죄를 표명하지 않은 배경에 기시다 후미오 총리의 강한 지시가 있었다고 아사히신문이 7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기시다 총리는 한국과의 배상 문제 협의를 보고받을 때마다 ‘다시 돌아갈 수 없도록 애매한 요소를 남기지 말라. 끈질기게 협상하라’는 지시를 반복했다.

‘애매한 요소를 남기지 말라’는 발언은 협상 과정에서 타협 불가능한 조건을 명확히 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일본이 정부 차원의 사과와 피고 기업의 배상 참여는 전제하지 않는다고 일찌감치 못 박았다는 뜻이다.

기시다 총리는 지난 6일 한국 정부의 징용 배상 해법 발표에 역대 내각의 입장을 전체적으로 계승한다고 밝혔을 뿐 직접 ‘사죄와 반성’을 언급하지 않았다.

아사히신문은 집권 자민당의 소수 파벌로 분류되는 기시다 총리가 당내 다수인 보수 강경파를 의식해 이런 태도를 보였다고 분석했다. 당내 보수파로부터 ‘한국과 타협했다’는 비판이 강해지면 정권 운영에 영향을 받게 된다는 것이다. 자민당 강경파는 역사 수정주의를 내세우며 한국에 강경한 태도를 취하고 있다.

일본에선 배상을 둘러싼 분쟁에서 사실상 승리했다는 반응이 우세하다. 자민당 참의원(상원)의 한 중진 의원은 “일본의 완승이다. 어떤 것도 양보하지 않았다”고 말했다고 산케이신문이 전했다. 지지통신은 “한국이 잘도 굽혔다. 일본의 요구는 거의 통했다”는 보수파 의원의 발언을 전했다.

한국 정부가 미래지향적인 한·일 관계를 위해 대승적 자세를 표명한 것을 높게 평가하며 호응을 주문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도쿄신문은 이날 사설에서 “한국 여론의 반발이 만만치 않아 일본 측 호응이 없으면 관계 개선이 실현되기 어렵다”며 “일본 정부와 피고 기업의 적극적인 협력이 필수적”이라고 촉구했다.

송태화 기자 alv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