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오마카세 가서 SNS 자랑…韓남녀의 허세” 日매체 비아냥


일본의 한 매체가 한국에서 스시 ‘오마카세’ 식당 방문이 유행하는 현상에 대해 “사치, 허세의 상징”이라고 지적했다.

일본 주간지 슈칸신초의 인터넷판 데일리신초는 12일(현지시간) ‘일본의 오마카세가 한국에서 유행’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오마카세는 한국 젊은이들의 사치의 상징”이라고 보도했다.

해당 매체는 “첫 데이트나 생일, 크리스마스 등 기념일에는 인기 있는 오마카세 레스토랑을 예약한다”며 “서울 시내의 인기 오마카세는 점심에 13만원, 저녁엔 25만원 정도로 가격이 비싼데, 평가가 좋은 레스토랑의 주말 예약은 일주일 전부터 마감된다”고 언급했다.

오마카세는 요리사가 그날그날 재량껏 요리를 내어주는 맡김 차림을 뜻하는 일본어다.


기자는 서울의 한 오마카세 레스토랑을 방문한 뒤 “(손님의) 20%가 사업 관계, 나머지 80%가 20~30대 커플”이라며 “연인과 함께 SNS에 사진과 영상을 올려 다른 사람에게 자랑까지 하는 것까지가 세트”라고 주장했다.

이어 “첫 데이트나 생일, 크리스마스 등의 기념일에 인기 오마카세 레스토랑을 예약하면 ‘상대를 실망시키지 않는 훌륭한 선택’이라고 주위로부터 평가를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매체는 또 “한국에서는 데이트 음식값을 반드시 남자가 내야 한다는 고정관념이 있다”며 “여성 앞에서는 수입이 많고 센스 있는 남자인 척 하기 위해 어쩔 수 없다는 게 속내”라고 지적했다.


최근 이처럼 일본 언론들을 중심으로 한국의 소비 풍조를 비판적으로 다루는 보도가 늘고 있다.

지난달 일본 산케이신문 계열의 타블로이드지 유칸후지는 “한국의 젊은이들은 컵라면으로 저녁을 때우면서도 에르메스 빈 상자를 배경으로 가짜 롤렉스 손목시계를 찬 사진을 찍는다”고 비판적으로 보도한 바 있다. 특히 가계 부채 상황을 지적하며 “그저 가라앉고 있는 나라의 모습”이라고 힐난했다.

해당 기자는 이 글에서 “(한국은)예나 지금이나 ‘외화내빈’의 나라”라며 “이씨 왕조(조선) 혹은 고려 시대 양반이 외화내빈이란 사자성어를 만든 건 당시 내실은 어떻든 겉만 좋게 꾸미면 된다는 문화가 온 나라에 만연했기 때문일 것”이라고 전했다.

일본의 이같은 보도들은 자국보다 각종 경제지표가 앞서가고 있는 한국에 대한 질투 어린 시선 때문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일본 니혼게이자이연구센터는 일본의 1인당 명목 국내총생산(GDP)가 올해 한국에 추월당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올해 역전된 한국과 일본, 양국의 1인당 명목 GDP의 격차는 갈수록 벌어질 것으로 봤다.


국제통화기금(IMF)에 따르면 2022년 1인당 GDP 추정치는 일본이 3만4357만달러, 한국이 3만3591만달러로 그 격차가 2.3%(766달러) 수준에 그친다. 일본은 2007년 싱가포르, 2014년 홍콩 등에 1인당 GDP를 추월당했고, 대만에도 역전당할 가능성이 크다.

무디스·S&P·피치 등 3대 국제 신용평가기관 신용등급 평가에선 이미 한국이 일본을 넘어섰다. 지난해 우리나라 신용등급은 무디스 Aa2, S&P AA, 피치 AA-를 기록했다. 이에 비해 일본은 무디스 A1, S&P A+, 피치 A 등으로 우리보다 낮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