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과 미국이 ‘죄수 맞교환’ 문제를 놓고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이란은 “양국이 초기 협상에서 합의에 도달했다”고 했지만 미국은 “거짓말”이라며 즉각 부인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호세인 아미르압둘라히안 이란 외무장관은 12일(현지시간) 국영 IRIB방송에서 “죄수 교환 문제와 관련해 이란과 미국이 최근 며칠간 합의에 도달했다”고 밝혔다.
아미르압둘라히안 장관은 “우리 측에서는 모든 준비를 마쳤고 미국이 현재 최종 기술적 조정 작업을 하고 있다”며 “모든 일이 잘 진행된다면 이른 시일 내 죄수 교환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미국은 곧바로 부인했다. 네드 프라이스 미 국무부 대변인은 “수감자 가족에게 고통만 더하는 잔인한 거짓말”이라며 “우리는 이란에 부당하게 억류된 미국인 3명의 석방을 위해 부단히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도 별도 성명을 내고 이란 측 주장이 “거짓”이라고 덧붙였다.
외신들은 양국이 협상에서 어느 정도 진전된 합의를 이룬 것으로 보인다는 전망을 내놨다.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이란 내 한 외교 소식통의 말을 인용해 “죄수 교환 가능성에 새로운 모멘텀이 생겼다”고 전했다. 다른 한 관계자도 로이터통신에 “(죄수 교환 협상이) 어느 때보다 가까워졌다”고 말했다.
문제는 한국 내 은행 두 곳에 동결된 이란의 원유 결제대금 70억 달러다. 트럼프 정부가 2018년 이란 핵합의(JCPOA·포괄적 공동행동계획)를 탈퇴하고 대이란 제재를 복원하면서 이란의 원유 결제대금이 동결됐다. 이란의 해외 동결 자산 중 최대 규모로 알려져 있다.
한 소식통은 “이 자금을 어떻게 교환하고 감독할지에 대한 협상이 해결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FT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수십억 달러가 이란 정권에 이체되는 것을 승인할 경우 중동 내 동맹국 등의 반발에 직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이란에는 2016년 간첩 행위 등의 혐의로 징역 10년을 선고받은 시아마크 나마지(51)를 포함해 미 국적자 3명이 수감 중이다. 미국에도 이란인 10여명이 구금된 상태다.
장은현 기자 e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