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벽에 머리 ‘쿵쿵’ 그 범고래…44년 수족관 삶 최후 [영상]


40년 넘게 수족관에 갇혀 살며 스스로 머리를 부딪치는 모습까지 보이며 안타까움을 샀던 범고래가 끝내 수족관 안에서 죽음을 맞이했다.

캐나다 공영방송 CBC는 11일(현지시간) 온타리오주 정부가 캐나다에서 마지막으로 잡힌 범고래 키스카의 사망을 공식 발표했다고 보도했다. 키스카의 정확한 사인은 알려지지 않았다.

다만 해양공원 측은 성명서를 통해 최근 몇 주 사이에 키스카의 건강이 계속해서 악화했다고 밝혔다.

키스카는 아이슬란드 해역에서 태어나 1979년에 포획된 이후 40년 넘게 해양공원에서 사육됐다. 키스카는 1992년까지 수천 번의 공연에 동원된 것으로 알려졌다. 키스카는 다섯 마리의 새끼를 낳았지만 안타깝게 모두 세상을 떠났고, 함께 살던 친구들도 모두 숨을 거두거나 다른 시설로 옮겨졌다. 결국 키스카는 2011년부터 최후의 범고래가 됐다.


홀로 남게 된 키스카는 작은 수족관에 갇혀 같은 공간을 계속해서 빙빙 돌거나, 수족관 벽에 몸과 머리를 여러 차례 부딪히는 등 이상 행동을 보이기 시작했다.

해양공원에서 근무했던 필 데머스는 2021년 자해하는 키스카의 행동이 담긴 영상을 공개하며 “이 잔인함은 끝나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해양 공원에서 마지막으로 살아남은 키스카가 벽에 머리를 부딪치는 것을 관찰했다”며 “위험한 자해 행위다. 키스카가 곤경에 처해 있다”고 강조했다.

이를 최초로 보도했던 AP통신은 “키스카가 지난 10년 동안 해양 공원에서 동료나 가족들 없이 홀로 외롭게 살아야 했던 환경이 이 사건의 주요 원인이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범고래는 무리를 지어 사는 습성이 있다. 야생에서는 여러 세대가 한 무리를 이뤄 장기간 건강하게 살아가는 것으로 연구됐다”고 덧붙였다.

고래 보호 활동가 롭 로트도 당시 키스카의 모습을 두고 “야생에서 잡힌 아이슬란드 범고래를 40년 동안 인공적인 환경에서 길러 생긴 스트레스의 결과”라고 꼬집기도 했다.

한편 고래보호단체 WDC에 따르면 올해 1월 9일 기준 전 세계 해양공원에는 최소 55마리의 범고래가 갇혀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오기영 인턴기자 onlinenews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