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美 “틱톡, 中창업자 지분 매각해야…불응시 사용금지”


미국 정부가 동영상 공유 플랫폼인 틱톡 측에 중국 창업자들이 보유한 지분을 매각하지 않으면 미국에서 사용을 금지할 수 있다고 압박한 것으로 알려졌다.

15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한 소식통을 인용해 미 재무부 산하 외국인투자심의위원회(CFIUS)가 이런 의견을 틱톡 측에 전달했다고 보도했다. 틱톡 모회사인 중국 바이트댄스는 글로벌 투자자가 60%의 지분을 갖고 있고 창업자들이 20%, 직원들이 20%를 각각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WSJ은 “그동안 공화당으로부터 틱톡 관련 안보 위협에 강하게 대응하지 않는다는 비난을 받아온 바이든 행정부가 큰 변화를 시사했다”고 분석했다. 로이터통신도 바이든 행정부가 ‘틱톡 사용 금지’ 카드를 꺼낸 것은 처음이라고 전했다.

틱톡 측은 지분 강제 매각이 안보와 관련한 위험을 해결하지 못할 것이라며 반대 의사를 밝혔다. 브룩 오버웨터 대변인은 “소유권이 변경된다고 해도 데이터 흐름이나 접근권에 새로운 제한이 생기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앞서 틱톡 측은 중국 정부의 접근이나 영향으로부터 미국 사용자와 콘텐츠 등을 보호하기 위한 프로그램에 15억 달러(약 1조9700억원)를 지출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저우서우즈 틱톡 최고경영자(CEO)는 다음 주 미 하원 에너지상무위원회에 출석할 예정이다.

백안관은 지난달 말 연방정부 기관에 30일 내에 모든 장비와 시스템에서 틱톡을 삭제하라는 지침을 내렸다.

앞서 트럼부 정부도 2020년 틱톡 측에 지분 매각을 요구하며 미국 내 사용을 금지할 수 있다고 압박했지만 무산됐다. 틱톡 측은 정보성 매체에 대한 수입 금지 등의 권한을 제한한 ‘버먼 수정 조항’을 동원해 미 정부의 틱톡 사용 금지 시도를 차단했다. 바이든 행정부도 버먼 수정 조항과 더불어 표현의 자유를 규정한 수정헌법 1조에 위배된다는 지적에 직면할 수 있다고 외신들은 짚었다.

장은현 기자 e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