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남녀 성별 80% 확률로 선택할 수있는 인공수정 가능

인공수정 단계에서 아기 성별을 80% 가까운 비교적 높은 확률로 선택할 수 있으면서 안전성도 갖춘 것으로 알려진 인공수정 방법을 미국 연구팀이 발표해서 화제가 되고 있다.

英 Sky News는 어제(3월22일) NY Weill Cornell Medical Center 잔 피에로 팔레르모 교수팀이 과학 저널 PLOS ONE를 통해서 새로운 인공수정 방법을 공개했다고 보도했다.

잔 페이로 팔레르모 교수팀은 정자의 염색체가 남성(Y), 여성(X)에 따라 무게가 약간 다른 점을 활용했다.

즉 정자를 무게 차이에 따라 성별로 선별한 뒤 아들을 원하는 부부에게는 Y염색체 정자로, 딸을 원하는 부부에게는 X염색체 정자로 인공수정을 했다.

그 결과 딸을 원하는 부부 59쌍의 경우 292회 인공수정 가운데 231회(79.1%) 딸 배아를 얻는 데 성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들을 원하는 부부 56쌍도 280회 인공수정을 통해서 223회(79.6%) 아들 배아를 얻어 딸 배아 확률과 거의 비슷했다.

이같은 특별한 인공수정으로 실제 배아를 자궁에 이식해서 여자아이 16명, 남자아이 13명까지 출생시켰다.

잔 피에로 팔레르모 교수 연구팀은 논문에서 그동안 성별에 따른 정자를 선택하는 기술이 있었지만 시간, 비용 소요와 효과, 안전성 등에 대한 우려가 있었다고 전했다

새로운 정자 성 선택 방법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처음부터 가장 일괸되게 강조돼 온 것은 안전하고 효과이냐부 여부였다고 연구팀이 설명했다.

그동안 앞서 발표됐된 성 선택을 위한 인공수정 방식은 실험 결과가 일관되지 않거나, 과정이 위험해 채택되지 못했다.

염색체 확인을 위해서 정자세포에 형광물질을 투여하는 등 성별 구분에 너무 매달리면서 안전을 도외시한 결과로 임상에 적용하기 부적합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번에 공개된 방식은 정자 무게만으로 성별을 판독해 임상에서 활용 가능성이 더 큰 것으로 보인다.

연구팀은 새로운 방식이 안전하고 실현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그런데 성별 구별 출산이 가능해지면 이를 둘러싼 윤리적 논쟁 가열이 불가피해진다.

현재 성별 관련 질환 같은 타당한 이유 없이 배아의 성별을 부모의 기호에 의해 선택하는 것은 많은 나라들에서 불법으로 명확히 규정돼 있다.

대런 그리핀 영국 켄트 대학 교수는 아기의 성을 80% 정확도로 결정하는 이 연구가 과학적인 측면만으로는 타당해 보이는 모습이라고 말했다.

일부 국가에서는 법적 허점으로 인해서 정자를 선택해 인공수정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는데 그럴 경우 성별을 선택해 임신한다는 점에서 윤리적으로 심각한 문제가 될 수있다고 지적했다.

찬나 자야세나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남성병학과 과장은 이런 기술이 향후 피부색이나 눈의 색깔과 같은 신체 특징을 선택하는 데에도 적용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기술 발전에 따라 개인 기호에 맞춘 맞춤형 인간 생산도 가능해질 수 있다는 뜻이다.

한국 경우 오랫동안 남아선호사상이 지배했지만, 최근에는 딸 선호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미 기술적으로는 가능한 부분도 많았을 텐데 그동안 이런 기술 적용에 주저해온 데에는 이유가 있다며 남녀 성별 인공수정을 허용할 경우에 문제가 생기기 때문이라며 이런(배아 선택) 기술은 개인의 욕심에서 비롯된 부분이 상당하다고 분석했다.

한 번 닫혀있는 문을 열어 주게되면 단순한 남녀 성별이 아니라 지능, 체력 등 더 많은 것을 통제하고 싶어질 수밖에 없다고 꼬집었다.

다양한 재능을 가진 사람들이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다원성을 갖춘 사회가 돼는 것이 이상적인데 이같은 남녀 성별을 구분하는 인공수정 기술이 오히려 사회의 편향성을 더 부추기게 된다는 것이다.

게다가 자연 상태의 성비도 더 틀어질 수밖에 없어 최근 출산율이 떨어지는 상황을 더 악화시킬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