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은 한일관계 정상화와 관련해 100년 전의 일을 가지고 일본에 '무조건 안 된다', '무조건 무릎 꿇어라'라고 하는 것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미 국빈 방문을 위해 출국한 오늘(24일) 보도된 워싱턴포스트(WP)와의 인터뷰에서 지금 유럽에서는 참혹한 전쟁을 겪고도 미래를 위해 전쟁 당사국들이 협력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고 대통령실이 전했다.
윤 대통령은 이어 이는 결단이 필요한 것이라며 설득에 있어서는 저는 충분히 했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WP는 윤 대통령이 90분간 진행된 이번 인터뷰에서 일본에 대한 결정에 관해 상세히 언급했다고 전했다.
윤 대통령은 자신이 선거 기간 그 취지에 대해 투명하게 밝혀왔다고 말했다고 WP는 보도했다.
윤 대통령은 한국의 안보 불안 문제가 너무 긴급한 사안이기에 일본 정부와의 협력을 미룰 수 없었다면서 이에 대해 비판적인 사람들은 절대 납득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고 WP는 전했다.
대통령실은 이례적으로 윤 대통령이 인터뷰 과정에서 언급했으나 WP 기사에서 빠진 부분을 보충해 기자들에게 알리기도 했다.
한일관계 개선과 관련해 우리 헌법의 자유민주주의라는 정신에 비춰봤을 때 반드시 해야 하는 일이라며 가치를 공유하는 국가들끼리는 과거사 문제든 현안 문제든 소통을 통해서 해결할 수 있다고 한 대목이다.
아울러 저는 선거 때 국민들한테 이걸 공약으로 내세웠다는 강조점도 추가했다.
대통령실은 윤 대통령 발언 소개 외에 별도의 설명 자료를 배포해 윤 대통령의 '100년 전의 일'을 언급한 배경과 관련헤이런 식의 접근이 미래 한일관계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취지였다고 부연했다.
대통령실은 한일관계 정상화는 꼭 해야 하며 늦출 수 없는 일"이라며 유럽에서 참혹한 전쟁을 겪고도 미래를 위해 전쟁 당사국들이 협력하듯이 한일관계 개선은 미래를 향해서 가야 할 길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이어 이는 김대중-오부치 선언이 나온 1998년 김대중 전 대통령이 일본 의회 연설에서 '50년도 안 되는 불행한 역사 때문에 1천500년에 걸친 교류와 협력의 역사 전체를 무의미하게 만든다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라고 강조한 것과 동일한 맥락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윤 대통령은 WP 인터뷰에서 우크라이나 지원 문제에 대해 우크라이나가 불법 침략을 받았기 때문에 다양한 지원을 해주는 것이 맞는데 무엇을 어떻게 지원할 것이냐는 우리나라와 교전국 간의 직·간접적인 여러 관계들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앞서 로이터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 지원 가능성을 열어둔 데 비해 다소 신중한 입장 표명으로 해석된다.
윤 대통령은 지난19일 공개된 로이터 통신과 인터뷰에서 민간인에 대한 대규모 공격이나 국제사회에서 묵과할 수 없는 대량 학살, 전쟁법을 중대하게 위반하는 사안이 발생할 때는 인도 지원이나 재정 지원에 머물러 이것만을 고집하기 어려울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윤 대통령의 이러한 발언을 두고 주류언론들은 한국 정부가 '살상 무기 지원 불가'라는 기존 정부 방침을 변경할 가능성에 주목했다.
그간 미국 등 서방은 한국이 우크라이나에 무기를 지원하도록 요청해 왔으나 우리 정부는 교전 국가에 무기를 수출하지 않는 국내 정책 기조를 들어 거절해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