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헐리웃 작가들, 결국 총파업 강행.. 넷플릭스 드라마 차질 불가피

영상 스트리밍 시대에 걸맞은 보수체계 개편을 요구해온헐리웃 작가단체가 결국 총파업을 강행하기로 했습니다.

이에따라 미국작가조합(WGA) 소속 조합원 1만1천500명은 이르면 기존 협약이 종료되는 이튿날인 오늘(2일) 낮 12시 1분부터 전면 파업에 돌입할 예정입니다.

미국작가조합(WGA) 차원의 총파업은 2007년 말 이후 약 16년만입니다. 

당시 파업은 2008년 초까지 약 100일간 지속됐습니다.

이 단체는 어제(1일) 웹사이트를 통해 발표한 성명에서 제작사들은 노동시장 내부에 '긱 이코노미'(gig economy·임시 계약직 위주의 인력운용)를 만들었다고 밝혔습니다. 

또 이번 협상에서 한발짝도 물러나지 않으며작가 업무를 평가절하하지 않겠다던 약속을 배신했다고 주장했습니다.

반면 대형 제작사들을 대표하는 영화·TV제작자연맹(AMPTP)은 미국작가조합(WGA)와 합의를 모색하는 과정에서 충분한 인상을 제안했다며 반박했다.

영화·TV제작자연맹(AMPTP)안 전날보다 보상 규모를 더 늘리는 방안을 제시했지만, WGA가 다른 조건들을 고집하는 탓에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면서도 현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미국작가조합(WGA)과 추가 대화에 나설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

양측간 줄다리기 과정에서 최대 쟁점은 작가들의 수입을 보장하는 안전장치 마련 방안이었습니다.

WGA는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위주로 시장이 재편되며 드라마와 시트콤 등 시즌당 편수가 평균 20여편에서 10편 남짓으로 줄어든데다 작품 재판매 수익을 지급하는 재상영분배금(residual) 역시 감소했지만, 업무량은 오히려 늘어나며 작가들의 어려움이 커졌다는 입장입니다.

따라서 WGA는 스튜디오 측의 필요에 관계없이 일정한 기간을 정해 작가 고용 규모를 유지하며 프로그램을 제작·진행해야만 한다고 요구해왔지만, AMPTP는 이를 받아들일 수 없다고 버텼습니다.

인공지능(AI) 활용 작업 여부도 여전히 뜨거운 감자입니다.

WGA는 제작사들이 AI를 활용해이전에 작가들이 작업한 시나리오·각본에서 새로운 스크립트를 생성하거나, 이렇게 AI가 만든 대본 초안을 작가들에게 손보라고 요구해서는 안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파업이 현실화하면 '더 투나잇 쇼 스타링 지미 팰런'(팰런쇼), '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SNL) 등 심야 인기 토크쇼의 제작이 중단되는 것은 물론 일부 드라마들의 방영도 중단될 수 있다고 로이터는 전망했습니다.

특히 가을 시즌 방영되는 TV 프로그램들의 제작을 위한 대본 집필이 통상 5∼6월쯤 시작된다는 점에서 파업이 장기화할 경우 올 가을 새로운 작품 공개가 지연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번 파업의 불씨가 다른 직역으로도 옮겨붙을 공산이 크다고 AP는 짚었습니다.

미국배우방송인조합(SAG-AFTRA)과 AMPTP 간 기존 계약은 6월 30일 만료되며, 오는 10일부터 협상이 시작됩니다.

지난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수개월에 걸쳐 제작에 차질이 빚은 경험이 있는 대형 스튜디오들로써는 다시금 제작이 중단될 경우 상당한 타격을 입을 전망입니다.

단 해외 제작 기반이 탄탄한 넷플릭스 등 제작사는 이같은 영향에서 다소 자유로울 수 있다고 로이터는 덧붙였습니다.

라디오코리아 뉴스 김나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