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을 무섭게 추격하고 있는 마린 르펜 국민연합(RN) 후보가 공적자금 횡령 의혹에 휘말렸다. 24일(현지시간) 진행되는 프랑스 대선 결선투표에서 이 의혹이 어떤 변수로 작용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유럽연합(EU) 부패방지국(OLAF)은 16일 보고서를 통해 르펜 후보가 유럽의회 의원 시절 공적자금 약 13만7000유로(1억8000만원)를 전용했다고 밝혔다.
보고서에는 르펜과 아버지 장 마리 르펜을 포함한 국민연합 의원 3명이 2004~2017년 유럽의회 의원 재임 당시 약 62만 유로(8억2500만원)의 EU 공적자금을 횡령했다는 내용이 담긴 것으로 전해졌다. 르펜은 이 중 13만7000유로(1억8000만원)를 유용했다는 혐의를 받는다.
AP통신 등에 따르면 르펜은 2010년 ‘유럽 지역과 금융 위기’라는 주제의 콘퍼런스에 참석한 당원들의 숙박비 명목으로 5000유로 상당을 청구했다. 그러나 실제 해당 콘퍼런스에선 국민연합 당 대표 문제가 논의돼 명목상 주제와 다른 것으로 알려졌다. OLAF는 이 보고서를 지난달 프랑스 검찰에 제출했고, 기금 상환을 추진하겠다는 입장이다.
르펜 측은 즉각 반발했다. 르펜의 변호사인 로돌프 보셀루트는 AFP통신을 통해 “10년도 더 지난 일”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OLAF가 해당 사안에 대해 2016년 조사를 시작했고, 이미 지난해 3월 르펜이 서면 조사를 받았다고 밝혔다. 대선을 일주일 앞둔 시점에서 해당 의혹이 언론에 공개된 것은 대선에 영향을 미치기 위한 의도적 주장이라는 것이다.
르펜의 공적자금 횡령 의혹이 프랑스 대선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불확실하다. 현재 마크롱 대통령이 근소하게 우세하지만, 결과를 속단하긴 어려운 상황이다. 게다가 극좌 성향의 장뤼크 멜랑숑 굴복하지않는프랑스(LFI) 후보가 특정 후보를 지지하지 않으면서 불확실성을 더 키웠다. 멜랑숑은 지난 1차 투표에서 22%를 득표하며 3위를 기록, 결선 진출에 실패했다.
박재현 기자 j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