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실리콘밸리 '방산 스타트업' 주목.. 우크라전쟁은 "창업의 기회"

[앵커멘트]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로 군수물자 시장이 확대되는 가운데실리콘밸리의 자유로운 기업문화와 신기술로 무장한 방산 스타트업이 대거 등장하고 있습니다.

하자민 이런 스타트업들은 일부를 제외하면연방 국방부 사업예산을 따내는 데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김나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실리콘밸리에서 방산 스타트업이 대거 나타나고 있습니다. 

어제(21일)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이번 전쟁은 각종 첨단기술의 '테스트베드'(시험대)가 되고 있다고 표현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가 제공한'스타링크' 인공위성 인터넷 서비스는 우크라이나군 최전방 부대의 신속한 소통 및의사결정 과정에 결정적인 도움을 줬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여기에 우크라이나는 폭격기로 개조한상업용 드론을 전장에 투입해상당한 효과를 거둬 주목받기도 했습니다.

해병대 장교 출신인 국방대의 토머스 헤임스는 이러한 현상을 가리켜 진정한 군사 혁명이라고 밝혔습니다. 

1차 세계대전때 도보로 걷던 병사들이2차 대전에선 기계화보병으로 발전한 것보다훨씬 빠르게 일어나고 있는 혁명이라고 분석했습니다.

국내에서는 이런 분위기를 타고 전쟁터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군사·무기 기술을 개발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합니다.

유타주에 위치한 스타트업 포르템은 수㎞ 밖에서 무인기가 날아오는 것이 감지되면 즉각 발진해 수백미터 상공에서 그물로 포획하는 신형 드론을 개발 중입니다. 

러시아가 즐겨 쓰는 이란제 드론의 이름을 따'샤헤드 사냥꾼'이라는 별명이 붙었습니다.

샌프란시스코에 있는 스타트업 프라이머는 소셜미디어에 공개된 GPS 등 위치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해상대방 부대 혹은 장비의 위치를 포착합니다.

빅데이터 분석 스타트업 '팔란티르'는 널리 알려진 성공사례 중 하나입니다. 

미 중앙정보부(CIA)에게서 초기 투자를 받은 이 업체는디지털 정보를 토대로 적군의 목표물을 식별해냅니다. 

오사마 빈 라덴 제거 작전에도 투입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이런 스타트업들은 일부를 제외하면연방 국방부 사업예산을 따내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스타트업은 기존 거대 방산업체와 비교해 보다 유연하고, 저렴하고, 신속한 옵션을 제공하는 반면대규모 계약을 감당할 수 있는지에 대한 불확실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업계에서는 각종 위험요소를 피하기 위해신중하고 지난한 의사결정을 거치는 정부 관료제의 높은 문턱을 가리켜'죽음의 계곡'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입니다. 

일부는 계약 체결을 기다리다 자금난으로 직원들을 해고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미 국방부의 조달 담당인 윌리엄 라플란테 차관은 전쟁의 관건은 진짜 중요한 무기를 강도 높게 생산해내는 것"이라며 실리콘밸리는 공을 인정받고 싶겠지만,우크라이나 전쟁은 그렇게 돌아가지 않는다고 꼬집었습니다.

여전히 소총과 대포, 곡사포 등 20세기에 널리 쓰인 재래식 무기의 중요성을 간과할 수 없다는 지적입니다.

라디오코리아 뉴스 김나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