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은 북한이 사이버 범죄를 통해 탄도미사일 등 무기 개발 자금을 조달하고 있다며 가상화폐를 이용한 제재 회피를 차단하겠다고 밝혔다.
앤 뉴버거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사이버·신기술 담당 부보좌관은 19일(현지시간) 뉴욕외신기자협회 화상 브리핑에서 “제재를 우회하고, 대량파괴무기(WMD)와 탄도미사일 개발을 지원하는 북한의 악의적인 사이버 행위에 대해 몇 마디 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뉴버거 부보좌관은 북한 연계 해킹 조직 ‘라자루스’를 언급하며 “북한은 WMD와 탄도미사일 프로그램 재원을 조달하기 위해 사이버범죄 등 불법행위에 의존하고 있다. 유엔과 미국의 제재를 피하기 위해 노력 중”이라고 지적했다. 앞서 재무부는 이달 초 블록체인 비디오게임 ‘액시 인피니티’에 대한 6억2000만 달러 가상화폐 해킹 배후로 라자루스를 지목하고 제재에 나섰다.
뉴버거 부보좌관은 “이 사례는 북한의 가상화폐 불법 활용이 어느 정도 수준인지를 잘 드러내고 있다”며 “명목화폐 세계에서 구축한 글로벌 돈세탁 방지 시스템을 이제 가상화폐 세계에도 도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뉴버거 부보좌관은 북한의 사이버범죄 대응 방안 등을 한국과 논의했느냐는 질문에 “인도·태평양 동맹은 북한의 WMD와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에 맞설 믿을 수 없을 정도로 강한 동맹”이라며 “정보를 공표하기 전 동맹과 먼저 공유했고, 그들과 긴밀히 협력하기를 고대한다”고 말했다.
미국 국토안보부 산하 사이버안보∙기간시설안보국(CISA)과 연방수사국(FBI), 재무부는 전날 북한 연계 해킹 조직의 암호화폐 절도와 관련된 사이버 위협을 강조하기 위한 보안 권고(CSA)를 발표했다.
이들은 “미국은 최근 블록체인 기술 및 암호화폐 산업의 다양한 조직을 표적으로 하는 북한 사이버 공격자들을 목격했다”며 “해커집단은 암호화폐 기술 회사와 거래소, 게임 회사의 취약점을 악용해 북한 정권을 지원하기 위한 자금을 생성 및 세탁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워싱턴=전웅빈 특파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