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미·중 갈등 새 격전지로 떠오른 남태평양 작은 섬나라 솔로몬제도


인구 70만명 안팎의 남태평양에 위치한 작은 섬나라가 미·중 신경전의 새로운 격전지로 떠오르고 있다. 호주 북동쪽, 파푸아뉴기니 동쪽에 위치한 솔로몬제도 이야기다.

면적이 남한의 3분의 1에도 못 미치는 솔로몬제도는 미국이 오랜 기간 영향력을 행사하고 동맹국인 호주·뉴질랜드가 수십 년 동안 ‘뒷마당’이라고 여기던 곳이다.

그러나 19일(현지시간) 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이 정례 브리핑에서 왕이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과 제레미아 마넬레 솔로몬제도 외교장관이 양국 정부를 대표해 최근 안보 협정에 정식 서명했다고 밝히면서 미·중 갈등의 새로운 격전지로 떠오르고 있다.

논란의 이유는 협정 내용이다. 협정 전문이 공개되지는 않았지만 협정에는 중국의 필요에 따라 중국 함정을 솔로몬제도에 파견할 수 있으며, 현지에서 물류 보급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이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중국이 질서 유지를 위해 무장경찰을 솔로몬제도에 파견할 수 있는 내용과 현지 중국인과 중국 측이 관여하는 주요 프로젝트 보호를 위한 중국의 병력 파견이 가능하도록 하는 내용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은 이번주 내로 솔로몬제도에 고위급 대표단을 파견해 문제를 제기할 예정이다. 에이드리엔 왓슨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대변인은 이날 발표한 성명에서 “미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 등 4개국 당국자가 중국과 솔로몬제도의 협정 체결에 따른 안보 체계 변화가 자유롭고 개방된 인도·태평양 지역에 심각한 위험이 될 것이라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고 밝혔다.

호주도 중국과 솔로몬제도 간의 협정을 우려하고 있다. 협정에 따라 호주 해안에서 2000㎞도 떨어지지 않은 곳에 중국군이 주둔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마리스 페인 호주 외무부 장관은 “호주는 이번 협정에 깊은 실망을 했다”며 “이번 협정이 우리 지역의 안정을 훼손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러한 주변국의 반응에 머내시 소가바레 솔로몬제도 총리는 “솔로몬제도에 외국 군대의 기지를 허용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며 주변국들의 우려에 불쾌감을 표시했다. 소가바레 총리는 20일 국회에서 중국과 협정 체결을 확인하면서 주변국들이 솔로몬제도의 국익을 위한 결정을 존중해줘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소가바레 총리는 “이번 협정 체결은 지역의 평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지 않을 것”이라며 “중국과의 안보 협력은 다른 어떤 나라나 동맹을 겨냥한 것이 아니라 내부적인 안보 상황을 고려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백재연 기자 energ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