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 회의에서 미국과 캐나다, 영국, 우크라이나 대표단 등이 러시아 연설 때 집단 퇴장하며 보이콧을 표시했다.
워싱턴포스트(WP), CNN, 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미국 재닛 옐런 재무장관,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 등은 20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서 열린 G20 재무장관 회의 비공개 세션에서 안톤 실루아노프 러시아 재무장관 연설이 시작하자 자리를 떠났다고 여러 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실루아노프 장관은 회의에 직접 참석하지 않고 화상으로 연설을 진행했다.
집단 퇴장에는 크리스티아 프릴랜드 캐나다 부총리, 크리스틴 라가르드 유럽중앙은행(ECB) 총재, 앤드루 베일리 영국 중앙은행(BOE) 총재
러시아는 국제 경제의 질병이고, 우크라이나는 면역 세포”라며 “러시아를 막지 못하면 감염이 확산하고 오염이 시작될 것”이라고 말했다.
네덜란드, 영국, 프랑스, 독일의 고위급 경제 관리들도 회의장을 나왔고, 화상으로 참석한 일부 관리들은 화면을 꺼버렸다”고 전했다. 일부 장관들은 러시아 대표단을 향해 “왜 이 회의실에 앉아 있느냐”며 노골적인 불만도 드러냈다고 한다.
프릴랜드 부총리는 트위터에 러시아 연설 보이콧 동참자들과 함께 찍은 사진을 올리고 “세계의 민주주의 국가들은 계속되는 러시아의 침략과 전쟁 범죄 앞에서 가만히 있지 않을 것”이라고 적었다.
CNN은 “재무장관들이 러시아에 대한 보이콧 계획을 미리 논의했다”고 관계자를 인용해 보도했다. 옐런 장관은 참석자들에게 “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 행동할 순 없다”며 러시아의 회의 참석 반대 입장을 밝혔다. 그는 이달 초 G20 의장국인 인도네시아에도 러시아가 포함된 회의에는 참여하지 않겠다고 통보했었다.
영국도 성명을 통해 “동맹국인 미국, 캐나다와 함께 영국 대표들이 러시아 대표단 발언 때 G20 회의를 떠났다”며 “우리는 동맹국과 계속 협력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쟁을 가장 강력한 방식으로 규탄하고 처벌하기 위한 국제적 공조를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크리스티안 린드너 독일 재무장관은 “세계 성장 둔화, 높은 인플레이션, 공급망 문제 책임은 러시아에 있다. 러시아는 고립되어야 한다”고 비판했다. 홍남기 경제부총리는 일본, 이탈리아 등 다른 국가 장관들과 함께 자리를 지켰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라가르드 ECB 총재가 티모르 막시모프 러시아 재무 차관에게 우크라이나 전쟁을 끝내라는 분명한 메시지를 모스크바에 전달할 것을 촉구했다”고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막시모프 차관은 직접 회의에 참석했다.
러시아 재무부는 회의 후 발표된 성명에서 “실루아노프 장관은 G20에 회원국 간의 대화를 정치화하지 말 것을 촉구했다”고 밝혔다. 실루아노프 장관은 “지금의 위기는 세계 통화와 금융 시스템 신뢰를 훼손할 위험이 있다. 자유로운 무역과 금융 거래 가능성이 더는 보장되지 않는다”며 서방 제재에 대한 불만을 토로했다고 로이터통신이 전했다.
워싱턴=전웅빈 특파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