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새해를 맞은 월스트리트에서 장밋빛 기대감이 넘쳐나는 분위기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오늘(1일)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 속에서도 견고한 성장을 이룬 월스트리트에서 새해 낙관론이 확산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지난해 초만 하더라도 연방준비제도의 고금리 정책으로 인한 불황 가능성 탓에 미국 경제에 대한 비관론이 우세했지만, 정작 금융시장은 반대 방향으로 흘러갔다.
S&P 500지수는 지난해 마지막 거래일인 12월29일 4,769.83을 기록했다.
지난해 초에 비해 24%나 상승하면서 전고점4,796.56 돌파까지도 가시권에 둔 상황이다.
또한 시장금리의 벤치마크인 10년물 미 국채 금리는 3.86% 선에서 안정됐다. 지난 10월 5.02%까지 올랐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시장이 급속도로 안정을 되찾았다는 방증이다.
이에 따라 글로벌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올해 S&P500 목표치로 5,100을 제시했다.
현시점보다 7% 가까이 상승을 이어간다는 것이다.
또한 금융정보업체 팩트세트에 따르면 대형 기술주 7개 종목인 '매그니피센트7'의 올해 상승 전망치 평균은 11%에 달했다.
이 같은 장밋빛 전망은 미국 경제가 연착륙을 달성하고, 연준은 기준금리를 낮출 것이라는 기대에 기초하고 있다.
뱅크오브아메리카 증권이 지난 달 메이저 펀드 매니저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90% 이상이 연준이 금리를 더 이상 올리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또한 응답자의 60% 이상은 1년 안에 미 국채 금리가 더 하락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는 뱅크오브아메리카 증권이 같은 내용의 설문을 시작한 이래 최고치라는 것이 월스트리트의 설명이다.
골드만삭스의 미국 투자 분야 수석전략가인 데이비드 코스틴은 고금리 시대가 끝나고 빠르게 금리가 인하할 것 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이 같은 기대가 성급하다는 반론도 없지 않다.
인플레이션 등 경제 상황의 변화에 따라 연준이 신속하게 금리 인하에 나서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연준의 금리 인하에 대해 시장의 기대가 과도하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연준은 지난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직후 발표한 전망에서 내년에 3차례 금리인하 가능성을 시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