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인공지능(AI) 기술 발달로 보이스피싱 범죄자들의 수법이 고도화하자 롭 본타 CA주 법무장관을 포함한 법무장관 26명이 연방 정부에 단속 강화를 요청했습니다.
본타 법무장관은 자동 음성 스팸 전화인 일명 로보콜 급증으로 주민들이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는 것뿐만 아니라 사기 피해액이 갈수록 증가하는 등 심각한 재정적 피해를 입고 있기 때문에 이에 강력하게 대처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채원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시도 때도 없이 걸려오는 스팸전화로 많은 주민들이 일상생활에 상당한 영향을 끼치자 롭 본타 CA주 법무장관이 연방 정부에 단속 강화를 요청하고 나섰습니다.
CA를 포함한 26개 주 법무장관은 연방 통신 위원회(FCC)에 자동 음성 스팸 전화, 로보콜에 대한 강력한 대처를 요구하는 서한을 보냈습니다.
본타 법무장관은 성명을 통해 “로보콜은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뿐만 아니라 실제로 심각한 재정 피해까지 입을 수 있다”며 “최근 인공지능(AI) 기술 발달로 인해 사기 전화와 문자로부터 소비자를 보호하는 것이 더 어려워지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로보콜은 연방거래위원회(FTC)에 접수되는 소비자 불만 사항 1위로 기록되며 이러한 수법은 사기범들이 피해자들과 접촉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입니다.
본타 법무장관은 사기범들이 유명인이나 피해자 가족들의 목소리와 같이 실제 목소리를 모방하는 사례가 늘어나는 등 AI 기술로 전화 사기가 갈수록 더욱 정교해지고 있다며 우려했습니다.
FCC에 따르면 지난 2022년에만 사기 전화와 문자로 전국적으로 11억 3천만 달러 이상의 피해액이 발생한 것으로 추산됩니다.
스팸방지 어플 트루콜러와 해리스에 따르면 전국적인 전화 사기 피해자 수는 2017년에서 2022년 사이 거의 3배가 증가했습니다.
본타 법무장관은 지난 2022년 1월부터 초당적 연합의 일환으로 FCC에 불법 해외 자동 음성 전화에 대한 대처를 촉구했고 그해 8월 미국으로 로보콜 연결을 시도하는 외국 통신사들과 연계된 업체들을 적발하기 위해 로보콜 관련 태스크포스를 신설하고 단속을 강화한 바 있습니다.
당시 본타 법무장관은 모두가 사기 피해를 당할 걱정 없이 마음 편히 전화를 받을 수 있는 권리가 있는 만큼 전국 주 검찰들과 공동 대응해 힘을 합치게 됐다고 말했고 이번 서한 작성이 로보콜 단속 강화에 압력을 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라디오코리아 뉴스 이채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