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스 투자은행 UBS는 연초에 금값이 약세를 보이고 있지만, 금리 인하 가능성에 힘입어 올해 10% 정도 상승할 것으로 어제(22일) 전망했다.
CNBC 방송에 따르면 UBS는 지난해 귀금속이 15% 정도 상승한 것과 비교하면 최근 하락세는 미미한 것이라면서연방준비제도의 정책 '피벗'(전환)의 힘을 과소평가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이어 금값이 심리적 지지선인 온스당 2천달러를 상회하고 있다면서 단기적인 변동성에도 불구하고연말까지 온스당 2천250달러까지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캐나다 스코티아뱅크도 이날 올해와 내년 금과 은 가격 상승을 예상하면서 연말 금값 전망치를 종전의 온스당 1천900달러에서 2천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세계금위원회(WGC)에 따르면 금값은 지난해 말 여러 차례 최고가를 경신한 끝에 사상 최고치인 온스당 2천78달러를 기록했다.
애널리스트들은 이 같은 금값 상승이 금리 인하 기대와 함께 이스라엘-하마스 분쟁으로 인해 글로벌 변동성 때문으로 분석했다.
이와 함께 각국 중앙은행들은 2022년과 지난해 보유자산 다각화를 위해 금의 주요 구매자 역할을 했다.
UBS는 이에 대해 오는 5월부터 연준이 100bp(1bp=0.01%포인트) 정도의 금리를 인하할 것이라는 기대에 따른 것으로, 이는 미국 달러와 실질 금리에 압력을 가해 금 관련 상장지수펀드(ETF) 등 금 수요를 촉발할 것이라고 말했다.
UBS는 지속적인 거시(경제)와 지정학적 위험 상승으로 인해 헤지(위험회피)와 다각화를 위한 금 투자를 정당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