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미 공중보건서비스단 의무총감이 오늘 (25일) 총기 폭력을 공중보건 위기로 선언한다고 발표했습니다.
빠르게 증가하는 총기 관련 부상자와 사망자 수를 줄이기 위한 것으로 자동 소총 금지, 총기 구매 시 신원 조사 도입, 산업 규제 등을 제안하며 입법을 통한 강력한 규제를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김신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공중보건서비스단 비벡 머시 (Vivek Murthy) 의무총감이 급증하는 총기 폭력을 공중보건 위기로 선언했습니다.
비벡 머시 의무총감은 오늘 권고문을 발표하고 “어린이와 청소년의 주요 사망 원인으로 총기 폭력이 자동차 사고를 넘어섰다"며 총기 폭력을 공중보건 위기로 간주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의무총감이 총기 폭력을 공중 보건 위기로 언급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의무총감이 제시한 관련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22년 무려 4만 8천 명 이상의 미국인이 총기로 인해 사망했습니다.
아울러 지난 2019년 기준 19살 이하 어린이의 총기 관련 사망률은 캐나다의 5배 이상, 스웨덴의 18배, 호주의 22배 이상인 것으로 조사됩니다.
머시 의무총감은 이와 함께 관련 입법을 통한 강력한 규제를 촉구했습니다.
우선, 총기 사망 사고를 줄이기 위해 자동소총을 금지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또 총기 구매 시 신원조사를 수행할 수 있는 딜러를 통해서만 총기를 구입하도록 하는 ‘예외 없는 신원 조회’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
아울러 어린이로부터 일정 보관 거리를 유지하고 잠금장치를 설치해야 한다며 무기를 안전하게 보관하지 않는 사람들을 처벌하는 안도 함께 제시했습니다.
의무총감이 오늘 제안한 총기 규제 조치는 의회에서 법안이 통과되지 않는 한 시행될 수 없지만 일부 주의회에서 제안 중 일부를 제정하거나 고려할 수는 있습니다.
한편, 머시 의무총감이 총기폭력을 공중보건 위기로 선언한 것과 관련해 일각에서는 오는 11월 대선을 앞둔 정치적 고려가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라디오코리아 뉴스 김신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