캘리포니아 주에는 각종 자연 재해가 일어나지만 주민들, 특히 취약층에 도움을 주는데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당파 비영리 언론기관 CalMatters는 지난 5일(수) CA 주 의회에서 청문회가 열렸다고 보도했다.
자연 재해 발생 시 취약 계층을 도울 시스템이 캘리포니아 주에 얼마나 갖춰졌는지 여부를 살피는 청문회였다.
원래 지금부터 5년 전이었던 지난 2020년에 코로나 19 팬데믹이 캘리포니아 주에 휘몰아 쳤던 상황에서 취약 계층을 도울 준비가 돼 있지 않았던 카운티가 최소 3개로 파악됐는데 그 때는 청문회 개최도 하지 못하고 흐지부지되고 말았다.
그런데 5년이 지난 올해(2025년) 1월 초 LA를 비롯한 남가주에서 산불 사태가 일어나면서 다시 한번 취약 계층에 대한 시스템적인 미흡함이 드러났고 이번에는 그같은 문제를 점검하기 위해서 청문회가 열리게 된 것이다.
캘리포니아 주 의회 청문회에서는 LA 산불 사태 중에서도 취약 계층 사람들이 많이 거주했던 Eaton Fire가 논란의 대상이었다.
Eaton Fire로 인해 발생한 사망자의 상당수가 노인과 장애인이었기 때문이다.
앤서니 미첼 Sr.와 그의 뇌성마비를 앓고 있는 아들 저스틴 미첼도 이번 산불 속에서 미처 대피하지 못하고 목숨을 잃고 말았다.
문제는 미첼 부자가 산불이 한창 타오르며 밀려오고 있을 때 대피 준비를 마치고 지원을 기다리다가 불길에 희생되고 말았다는 점이다.
제대로 지원 활동만 이뤄졌다면 생존했을 가능성이 높은데도 정부 차원에서 긴박한 순간에 지원이 제대로 이뤄지지지 않았기 때문에 아버지와 장애인 아들이 한꺼번에 사망하는 비극이 일어난 것이다.
캘리포니아 주 의회 의원들은 이렇게 청문회를 열어서 감사를 하는 이유가 무엇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차이점이 있는지 등을 살피기 위해서라고 설명한다.
이번 청문회에서 가장 크게 지적된 것이 예방할 수있었던 참사라는 점이었다.
즉 지난 2020년 코로나 19 팬데믹 때도 어려움을 겪은 사람들이 많았는데 이미 5년 전이었던 그때 캘리포니아 취약 계층 지원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나왔지만 이번에 LA 산불 사태로 다시 한번 취약함이 그대로 노출됐다는 점이 확인된 것이다.
결국 캘리포니아 주는 재난 상황에 긴급하게 대처하는 시스템을 5년간 업그레이드 할 수있는 기회를 놓쳤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캘리포니아 주는 가장 도움이 절실한 취약 계층 주민들을 5년 전에 보호하지 못했는데 지금 2025년에도 보호하지 못하고 있다.
2022년에 현직이었던 그랜트 팍스 전 캘리포니아 주 감사원장은 아무리 계획을 세우더라도 재난이 발생하면 성공을 보장할 수없는 것이 현실이지만 지금 캘리포니아 주 경우에는 계획이 아예 없거나 크게 부족하다는 것으로 천재지변이 일어나면 인재가 섞이게될 가능성이 높은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래서 캘리포니아 주 의회는 지난 2020년에 자연재해 발생 시 가장 위험에 처한 사람들을 보호할 준비가 돼 있는 로컬 정부를 확보하기 위한 차원으로 법안을 만들었다.
비상서비스 국이 매년 최소 10개 카운티의 자연재해 대처 계획을 검토하도록 요구하는 법안을 만들어 통과시킨 것이다.
비상 서비스 국은 그 이후로 32건의 검토를 실시했다고 보고했다.
비상 서비스 부서 접근성 기능적 요구 사항 사무소에서 조직을 이끌면서 수장 역할을 맡고 있는 밴스 테일러 책임자는 2020년에 접근성과 기능성 등을 갖춘 사람들을 포함하는 태스크포스를 만들었고, 그 이후로 지방 정부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만들고 지침 문서를 발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비상 서비스 국은 다양한 언어로 전단지와 영상을 제작하고, 지역 사회와 협력해 비상 대비에 대한 정보를 배포하는 이른바 ‘Listos California’ 라는 프로그램을 개발해내는데 성공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23년 Cetral Valley 일부를 덮친 폭풍은 여러 언어에 능통한 직원들을 충분히 확보해야 하는 것을 포함해서 해야 할 일이 많다는 것을 보여준 사례로 꼽히고 있는 상황이다.
캘리포니아 주 의원들도 아직 더 개선이 필요하다고 보고 이번 청문회를 통해서 미흡한 부분을 부각시키겠다는 의도로 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