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세금 보고 시즌을 틈타 CA주 세무국을 사칭한 뒤 주민들의 개인 정보와 금전을 탈취하는 사기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CA주 세무국은 세금 관련 기관이라며 특정 링크가 포함된 문자메시지, 이메일 등으로 접근하면 답장하지 말고 직접 정부 당국에 연락해 사실 확인을 하는 것은 물론 신고해 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양민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CA주 세무국(FTB)이 세무국 사칭 스캠 사기를 경고하고 나섰습니다.
CA주 컨트롤러인 말리아 코헨 세무국 의장은 세금 보고 시즌을 틈탄 세무국 사칭 스캠 사기를 주의해야 한다고 밝히며 예방 대책을 공유했습니다.
사기범들은 금융을 포함한 개인 정보를 탈취하기 위한 목적으로 세무국 웹사이트와 흡사한 사기 웹페이지 링크를 담은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고 있습니다.
사칭 문자에는 신용카드나 은행 계좌, 세무국 웹페이지 계정, 이메일 계정 또는 비밀번호를 요구하는 내용이 포함돼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사기범들은 세무국 또는 국세청 직원을 사칭해 납세자에게 금전을 직접 요구하거나 빼낸 개인정보를 사용해 허위 세금 보고를 한 뒤 환급금을 갈취합니다.
이러한 사기는 요구에 응하지 않으면 큰 불이익이 뒤따른다는 위협과 동반되기 때문에 주민들이 속기 쉽다고 세무국은 경고합니다.
계좌에 문제가 있다고 접근하거나 연체된 세금을 납부하지 않으면 체포될 수 있다는 등의 위협이 뒤따르기 때문입니다.
세무국은 이미 주민들의 계좌 정보를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단순 주민들의 계좌에 문제가 있다고 접근하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세금 또는 계좌 문제가 있을 경우 항목과 연체 이유 등 세부 사항을 설명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에 따라 세무국은 세금과 관련한 기관이라며 문자메시지와 이메일 등으로 접근해 왔을 경우 답하지 말고 직접 정부 기관에 연락해 확인해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또 세무국은 납세자에게 연락할 때 해당 내용을 웹페이지에 함께 공지하는 만큼 이 또한 확인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뿐만 아니라 금융을 포함한 개인정보를 요구하는 문자메시지와 이메일 등에 삽입된 링크에 접속하지 않고 업로드된 파일도 다운받지 말 것을 당부했습니다.
이메일을 통한 사기의 경우 실제 로고와 전화번호를 사용하기 때문에 쉽게 속을 수 있다며 해당 이메일 내용에 소셜 시큐리티 번호와 계좌번호, 비밀번호 등을 요구하는 내용이 포함돼 있으면 즉시 삭제하라고 밝혔습니다.
세금 보고 사칭 문자에 대한 신고는 800-852-5711로 전화하거나 세무국 전용 웹페이지에 접속하면 됩니다.
라디오코리아 뉴스 양민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