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USC, 2억 달러 적자에 대규모 구조조정 예고

연방정부의 연구 지원 축소와 유학생 감소 우려, 그리고 수년간 지출 증가로 인해 심각한 재정 위기에 직면한 USC가 대규모 구조조정을 예고했다.

USC의 김병수 임시 총장은 어제(14일) 전 교직원에게 보낸 서한에서 “USC는 재정적 도전에 단호하게 대응해야 한다”며 구조조정과 자산 매각, 고위직 급여 조정 등의 긴축 조치를 실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 총장은 “올해 6월 말 회계연도 기준 적자 규모가 2억 달러를 넘었고, 이는 전년의 1억 5,800만 달러에서 크게 증가한 수치”라고 전했다.

그는 “트럼프 행정부의 연구 지원금 삭감 정책과 유학생 등록 감소, 그리고 수년간 수입보다 빠르게 증가한 지출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며, 기존에 시행한 인력 채용 동결 등 조치만으로는 부족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학교는 사용하지 않는 부동산 매각, 고액 연봉자 보수 조정, 그리고 정확한 숫자가 공개되지 않은 직원 감축을 포함한 구조조정에 나선다.

김 총장은 “지금 어려운 결정을 내림으로써 USC는 앞으로 더 강해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일부 교직원은 이러한 상황을 단순히 연방 정부 탓으로 돌릴 수 없다는 입장이다.

USC 비터비 공대의 산제이 마다브(Sanjay Madhav) 교수는 “최근 수년간 학교가 추진한 여러 고비용 프로젝트가 재정난의 원인”이라며 “블룸 풋볼 퍼포먼스 센터 건설, 2024년 봄 가자전쟁 시위 이후 보안 강화를 위한 설비 확충, 2023년 개장한 워싱턴DC 캠퍼스 등은 무책임한 결정이었다”고 지적했다.

마다브 교수는 “결국 일반 직원들이 잘못된 결정의 대가를 치르게 된다”고 비판했다.

미 전역 대학들은 현재 트럼프 대통령의 교육 정책 변화 속에서 재정 압박을 받고 있다.

UC계열은 올해 3월 시스템 전반에 걸친 채용 동결을 선언했고, 스탠퍼드는 2025-26학년도 일반예산 1억 4천만 달러 삭감과 해고를 단행했다.

지난주 보스턴 대학도 예산 5% 삭감을 위해 직원 120명을 감원하겠다고 밝혔다.

김 총장은 “USC만의 문제가 아니다”라고 했지만, 내부에서는 경영진의 판단 실책에 대한 책임론도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