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강경한 무역 정책, 특히 중국에 대해서 추가적으로 관세를 부과할 방침이 자신의 지지층으로부터도 반발을 사고 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이는 내년 2026년 중간선거를 염두에 둬야 하는 상황에서 공화당의 주요 정책 노선에 대한 내부 균열 신호로 해석되고 있다.
영국 여론조사기관 Public First와 미국 정치매체 Politico가 설문조사를 지난달 6월에 공동으로 실시해 진행한 결과가 나왔는데, 지난해(2024년) 트럼프 대통령에 투표했다고 밝힌 유권자들 중에서 상당수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대해서 회의적인 입장을 보였다.
이번 설문조사에서 흥미로운 점은 응답자들 중에서 트럼프 지지자들 가운데서 대략 절반 정도만이 중국 상대 관세가 미국 기업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답했다는 점이다.
트럼프 대통령 지지자 25%는 중국 관세가 해가 된다고 봤고, 32%는 물가가 오르지 않을 경우에만 지지한다고 유보적 답변을 했다.
9%는 반대, 13%는 잘 모르겠다고 응답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8월 1일부로 추가적인 관세 부과를 예고하고 있고, 자신이 만든 소셜미디어 Truth Social에서 여러 국가에 보낸 ‘관세 경고 서한’까지 공개하면서 지지자들 사이에서도 긴장감이 커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같은 관세 정책이 미국에 큰돈(big money)을 가져올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수입업체와 소비자가 실제 부담하게 되는 구조로 인해 소비자 물가 상승 압력도 동시에 커지고 있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 지지자 중 46%만이 가격이 오르더라도 중국에 대한 관세를 지지한다고 답했다.
나머지는 가격 상승 시 반대하거나 조건부 지지, 또는 유보적인 태도를 보이며 트럼프 대통령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실제로, 일부 가전제품과 완구류, 신발류 등은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 인상으로 인해 이미 4~5% 가격 인상이 발생했다는 업계 보고도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의 대중 무역 협상 능력에 대한 신뢰에 대한 질문에는 지지자들의 긍정적 응답이 절반을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트럼프 대통령 지지자의 55%는 중국과의 무역협상과 관련해 어렵겠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해낼 수 있다고 예상했다.
중국과의 무역협상을 잘 해내지 못할 것이라는 완전히 부정적인 응답은 12%에 그쳐서 협상가로서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기대는 컸다.
반면 트럼프 대통령이 연방의회의 승인 없이 단독으로 관세를 부과하는 것에 대해서는 지지자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팽팽하게 엇갈렸다.
45%는 대통령 단독 권한을 인정했지만, 44%는 의회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고 응답했다.
지난해(2024년) 대선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아닌 카말라 해리스 전 부통령에게 투표했다는 민주당 응답자들 중에서는 절대 다수인 86%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드라이브 정책이 미국의 무역협상 능력을 해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민주당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노동 계층, 특히 농민과 제조업 노동자에게 큰 부담을 준다는 입장이다.
이번 조사는 6월 10일부터 20일까지 온라인으로 진행됐으며, 전국의 성인들 2,276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전체 표본오차는 ±2%, 트럼프 지지자 대상 표본오차는 ±5%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