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이재명 대통령이 오는 25일(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첫 한미 정상회담을 갖는다.
이재명 대통령 취임 이후에 미국을 최초로 방문하는 것이어서 미국 한인사회에서도 많은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그런데 이번 이재명 대통령의 방미는 국빈 방문이나 공식 방문이 아닌 ‘실무 방문’ 형식으로 확정됐다.
이에 따라, 체류 기간도 약 48시간 정도에 불과해 당초에 예상했던 것보다 격이 떨어진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한국 용산의 대통령실은 “실무 중심 방문”이라고 설명했지만, 한국 대통령의 취임 후 첫 방미가 이처럼 짧고 조용하게 진행되는 것은 이례적이다.
이재명 대통령에 대한 환영식이나 의전행사도 생략될 예정이며, 경제사절단 동행 여부조차 확정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서는 이번 일정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이재명 대통령에 대한 미묘한 시각을 반영한 것 아니냐는 해석까지 나오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대장동 개발 비리, 정치자금법 위반 등 여려가지 의혹들과 혐의들로 재판을 받고 있으며, 그런 와중에도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했다.
대선 승리 후 모든 재판이 중단된 상태지만 이러한 상황이 미국 측의 평가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이재명 대통령과 측근 인사들, 그리고 민주당 현 실세들의 정치 성향이 ‘친중·친북’으로 분류되는 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분석이다.
전통적으로 한미동맹과 대북 압박 정책을 중시해 온 공화당이 집권당이고, 중국을 제1의 적으로 두고 모든 정책을 펼치고 있는 것이 트럼프 행정부라는 점에서 현재 미국과 관계 설정이 이재명 대통령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미국 내 보수 진영에서는 이미 이재명 정부가 북한을 상대로 대북 유화책을 적극적으로 펼칠 가능성을 경계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번 정상회담의 공식 의제는 한미동맹 강화를 비롯해서, 경제·안보 협력 확대, 관세·투자 문제 등이다.
문제는 트럼프 대통령 스타일을 감안할 때 실제 회담에서 ‘한미동맹 현대화’를 명분으로 삼아 방위비 분담금 증액을 비롯해 주한미군 역할 조정, 대중국 견제 강화 등 민감한 요구를 제시할 가능성이 높다.
결국 이번 회담은 한미동맹을 미래 전략동맹으로 발전시킨다는 명분 아래, 양국이 서로의 이해관계를 어떻게 맞출 수있을지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하지만 객관적으로 첫 방미의 형식과 규모만 놓고 보면, 트럼프 행정부가 이재명 대통령에 대해서 얼마나 전략적 파트너로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많은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 불투명한 분위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