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2분기 국내총생산GDP가 3.3% 증가한 것으로 오늘(28일) 잠정 집계됐다.
이는 지난달 발표한 성장률 속보치3.0%보다 0.3%포인트 상향 조정된 것이다.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3.1%도 웃돌았다.
1분기 성장률 잠정치-0.5%에 견줘 큰 폭으로 반등한 수치다.
미국은 한국과 달리 직전 분기 대비 성장률(계절조정)을 연간 성장률로 환산해서 GDP 통계를 발표한다.
성장률의 반등에는 수입 감소와 개인소비 증가가 영향을 줬으며, 투자 감소가 일부 상쇄 효과를 가져왔다고 연방 상무부는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1분기와 2분기 성장률 오르내림에 적지 않은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1분기에는 관세 관련 불확실성에 기업들이 재고 확보를 위해 수입을 크게 늘리면서 역성장으로 이어진 반면, 2분기에는 일시적인 재고 확보 요인이 줄면서 수입이 감소해 성장률 급반등에 영향을 준 셈이다.
미국 경제 수요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민간지출(국내 민간 구매자에 대한 최종 판매) 증가율은 1.9%를 기록, 속보치보다 0.7%p 상향 조정됐다.
블룸버그 통신은 소비자와 기업이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 정책에 적응함에 따라 경제가 완만한 속도로 확대될 것 으로 전망했다.
2분기 개인 소비지출PCE 물가지수는 2.0% 상승했다.
속보치보다 0.1%p 낮아진 수준이다.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PCE 물가지수는 2.5% 상승으로 속보치와 동일했다.
PCE 물가지수는 연방준비제도가 기준금리를 결정할 때 주요 지표로 주목하는 수치다. 7월 PCE 물가지수는 오는 29일 발표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