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준비제도(Fed·연준) 관계자들이 예상을 웃도는물가 상승세에도 기존의 기준금리 인상 계획을 고수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블룸버그통신이 오늘(11일) 보도했다.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이날 야후파이낸스와 인터뷰에서 향후 통화정책 회의에서 0.5%포인트 인상을 준비한다는 계획이 당분간 좋은 기준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0.75%포인트 인상이 필요하냐는 물음에 자신의 기본 가정이 아니라고 답했다.
블룸버그는 기준금리인 연방기금금리(FFR) 선물 시장의 가격 움직임을 보면 투자자들도 평소 인상 폭의 3배인 0.75%포인트를 올리는 '자이언트 스텝' 가능성이희박한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단 시장에서는 6월과 7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뿐 아니라9월 회의에서도 0.5%포인트 인상, 이른바 '빅스텝'을 단행할 가능성에 무게를 싣고 있다.
이는 이날 발표된 미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작년 동기 대비 8.3%로, 시장 전망치 8.1%를 웃돈 영향 때문으로 풀이된다.
불러드 총재는 이를 두고 물가 상승 압력이 많은 이들의 생각보다 더 광범위하고 더 지속적인 것으로 드러났다고 말했다.
앞서 이달 초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인상한 후 기자들과 만나 향후 두어 번 회의에서 이런 빅스텝을 할 것임을 시사했다.
래피얼 보스틱 애틀랜타 연은 총재도 이날 한 행사에 참석해 파월 의장의 이런 계획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인플레이션이 높은 수준을 유지해 정말로 우리 목표 수준인 2%로 내려오지 않는다면 좀 더 움직이는 것을 지지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즉 현재는 기준금리를 경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중립 수준으로 인상할 계획이지만, 물가 상승세가 꺾이지 않는다면 기준금리를 경제 성장에 제약을 주는 수준으로 더 인상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는 의미다.
FOMC는 현재 중립 수준의 기준금리를 약 2.4%로 보고 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보스틱 총재의 이번 발언은 미 소비자물가 지표 발표 후에 나왔다.
일부 관측통들은 4월 물가 지표가 연준이 바라던 바가 아니라며 5월 물가 상승률도 여전히 높은 수준으로 나오면 빅스텝 논의가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5월 물가 지표는 6월 FOMC 회의 4일 전인 다음 달(6월) 10일 발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