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팬데믹 초창기 우한 감염자들, 아직도 장기 후유증 시달려

전세계에서 가장 먼저 코로나 19에 감염된 것으로 추정되는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 환자들이 아직도 후유증에 시달리고 있다.

국제의학학술지, ‘랜싯 호흡기 의학’에 지난 11일(목) 발표된 한 논문에 실린 내용의 핵심이 장기적인 후유증에 대한 것이다.

중국 국립 호흡기 의학센터 빈차오 교수 연구팀과 중일우호병원 의료진은 합동으로 장기 후유증에 대한 논문을 발표했다.

전세계에서 처음으로 코로나 19 바이러스가 확인된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에서 2년 전 코로나에 확진됐던 사람들 중 절반 이상이 장기 후유증에 시달리고 있다는 연구 결과다.

공동 연구진은 지난 2020년 초 코로나 19에 감염돼 우한 진인탄병원에 입원해 치료를 받고 퇴원한 1,192명을 추적 조사했다.

연구 대상자 1,192명의 평균 연령은 57세였으며 성별로 구분하면 남성이 54%, 여성이 46%로 각각  나타났다.

전체의 55%인 650명은 감염 2년 이후에도 한가지 이상의 후유증에 시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동 연구팀은 이처럼 2년 동안 대면 인터뷰를 통해서 팬데믹 초창기 우한 지역 환자들 상태를 추적했다.

그 결과 퇴원 이후 6개월이 된 시점에서는 전체의 2/3가 넘는 68%에 달한 우한시의 환자들이 최소 한 가지 이상의 증상으로 인한 괴로움을 호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에 참여한 환자의 31%는 피로감이나 근력 저하를 호소했다.

이것은 코로나 19에 감염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훨씬 높은 비율로 피로감이나 근력 저하가 나타난 것이다.

대조군의 경우 피로감을 호소한 사람들은 5%, 근력 저하는 14%에 불과했다.

환자들 가운데 퇴원 6개월이 지난 뒤에도 호흡 곤란을 느낀 사람들은 약 26%로 확인됐다.

2년이 지난 시점에도 호흡 곤란이 계속 나타난 사람들도 예상보다 많은 14%에 달해서 놀라움을 안겼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빈차오 교수는 공동으로 연구한 결과가 들려주는 내용이 충격적이라고 했다.

한번 코로나 19에 감염되는 경우 완전한 회복이 상당히 더디게 진행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기 때문이다.

코로나 19 환자는 증상에서 회복하더라도 완전하게 건강을 되찾는 데까지는 2년 이상이 걸린다는 뜻이다.

다만 이번 연구에 한계도 있다는 지적이다.

왜냐하면 코로나 19  팬데믹 초창기에 병원 한 곳에 입원했던 환자들을 대상으로 연구한 만큼 코로나 19 오리지널 바이러스 감염자들이다.

그런데, 초창기 이후에 델타 변이와 오미크론 변이 그리고 오미크론 하위변종, 그 하위변종의 변종 감염자들도 많아서 이런 감염자들에게 어떤 후유증이 있을지는 가늠하기 어렵다.

따라서, 최근에 감염된 사람들 후유증에 대해서도 좀 더 활발한 연구가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