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사우디아라비아와의 불편해진 관계를 개선하는데 속도를 내고 있다. 조 바이든 대통령이 취임후 줄곧 불편한 관계였던 사우디아라비아를 직접 방문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바이든 행정부의 이같은 움직임은 급등하는 유가를 안정시키기 위해선 최대 산유국인 사우디아라비아와의 관계 회복이 절실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뉴욕타임스는 2일(현지시간) 바이든 대통령이 이달 예정된 유럽과 이스라엘 순방 일정에 사우디아라비아 방문을 추가했다고 보도했다.
AP통신도 세부 사항이 최종 결정되진 않았지만 바이든 대통령이 이달 말 사우디를 방문할 의향을 갖고 있다고 전했다.
바이든의 사우디 방문이 관심을 끄는 것은 사우디 실권자인 무함마드 빈살만 왕세자와의 첫 회담을 통해 관계 개선의 전기를 마련할 수 있다는 점 때문이다.
무함마드 왕세자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때만 해도 미국과 밀착했지만 바이든 대통령 취임 후 줄곧 냉랭한 관계였다.
2018년 10월 사우디 반체제 언론인 자말 카슈끄지가 터키 이스탄불의 사우디 영사관에서 살해된 사건이 계기였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 문제를 크게 부각하지 않았지만, 인권을 중시하는 바이든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부터 사우디가 대가를 치르게 하고 사우디 왕족을 '왕따'로 만들겠다고 날을 세웠다.
그러나 바이든 대통령도 70년 넘는 우방인 사우디를 방치할 수 없는 처지에 처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맞물려 국제 유가가 크게 오른 상황에서 최대 석유 수출국인 사우디의 협력이 필수적이다. 유가를 비롯한 인플레이션은 오는 11월 미 중간선거 때 영향을 미칠 핵심 변수 중 하나로 꼽힐 정도다.
지난 3월엔 바이든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전, 국제유가 등 협력을 위해 무함마드 왕세자와 통화를 추진했지만 사우디의 거부로 무산됐다는 보도가 나올 정도로 양국관계는 원만치 못했다.
사우디는 미국이 경계하는 중국, 러시아와 교류하는 모습까지 보였다.
관계 개선 희망을 반영하듯 이날 바이든 대통령과 백악관은 잇따라 사우디에 유화적인 손짓을 보냈다.
신창호 선임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