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물가 상승률이 40년 만에 최악을 기록하는 가운데 조 바이든 정부 관료들이 오늘(5일) 주류 언론에 잇따라 출연해 여론전을 벌였다.
11월 중간선거를 앞두고 인플레이션 문제로 바이든 대통령의 지지율이 연거푸 최저치를 기록하면서 민주당 내부에서 위기의식이 고조되자 인플레이션이 코로나에 대응한 정부의 경기부양책 때문이 아니라 국제적 현상이라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나아가 정부의 재난지원금 지급을 비롯한 조치로 '고용 등의 측면에서 미국은 그나마 더 나은 상황이라는 점도 부각했다.
바이든 대통령 경제고문인 진 스펄링 전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 위원장은 이날 폭스 뉴스에 출연해 인플레이션 문제와 관련해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보고서를 보면 38개 국가의 평균 물가상승률은 9.2%라면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코로나 변이 등으로 야기된"매우 어려운 국제적인 현상"이라고 말했다.
이어 국제적 현상이지만 바이든 대통령은 행정적으로나 입법적인 측면에서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면서 바이든 대통령도 말한 대로 물가를 낮추는 게 최우선적 과제라고 말했다.
또 코로나19 재난지원이 물가 상승 요인으로 지적되는 것과 관련해더 많은 국민들이 재정적으로 괜찮다고 말하고 있다면서 방어했다.
그는 지난해 막대한 지원금 지급 등을 위한 코로나19 경기부양법 시행을 감독하는 역할을 한 바 있다.
지나 러몬도 상무부 장관도 CNN 방송에 출연해 지원금 등에 대해 그것은 모든 사람들이 일터로 돌아가는데 필요한 백신 접종을 위한 비용이었으며, 임대료 구제를 위한 돈이었다면서 구제 계획이 없었던 상황에서 우리가 지금 어떻게 살아갈지를 생각하면 오싹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실업수당 청구와 관련해 바이든 대통령 취임 시 1천800만명이었으나 지금은 90% 이상 하락했다면서 '경제 펀더멘털'을 강조했다.
그 역시 인플레이션에 대해서는 "프랑스의 휘발유는 갤런 당 10달러"라고 말하는 등 인플레이션이 국제적 현상이라는 점을 부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