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러시아, 리투아니아 화물 제한에 격노…발트해까지 긴장 고조


리투아니아가 러시아 서부 역외 영토인 칼리닌그라드주로 가는 화물 운송을 제한한 것을 두고 러시아가 강하게 반발하고 나서면서 발트해 연안의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가디언에 따르면 러시아 외무부는 20일(현지시간) 언론보도문을 통해 “모스크바 주재 리투아니아 대사 대리를 불러들여 리투아니아 정부가 러시아 측에 통보도 없이 자국 영토를 통과해 칼리닌그라드주로 가는 철도 경유 화물 운송을 대폭 제한한 데 대해 단호한 항의의 뜻을 전달하고 즉각적인 취소를 요구했다”고 밝혔다.

러시아 측은 또한 “국제법적 의무를 위반한 리투아니아 측의 도발적 행위를 노골적인 적대 조치로 평가한다”며 “리투아니아를 통한 칼리닌그라드주와 다른 러시아 영토 사이의 화물 운송이 조만간 완전하게 복원되지 않으면 러시아는 자국 이익 보호를 위한 행동을 취할 권리를 행사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리투아니아는 곧바로 반박에 나섰다. 가브리엘리우스 란즈베르기스 리투아니아 외무장관은 이날 룩셈부르크에서 열린 유럽연합(EU) 외무장관 회의에서 기자들과 만나 “리투아니아가 단독으로 하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며 “EU 집행위원회와 협의로 EU의 대러 제재 지침에 따라 취한 조치”라고 주장했다.

앞서 리투아니아 철도 당국은 지난 17일 칼리닌그라드주 철도 당국에 18일 0시부터 유럽연합(EU) 제재 대상 상품의 리투아니아 경유 운송을 중단한다고 통보했다.

리투아니아가 운송을 제한한 품목은 석탄과 철강, 건설자재, 첨단공학 제품 등이다. 이는 리투아니아를 경유하는 전체 화물의 약 50% 정도를 차지한다.

발트해 연안의 작은 나라 리투아니아는 2차 세계대전 당시 옛 소련에 점령됐다가 1991년 독립했다. 리투아니아를 비롯해 라트비아와 에스토니아 등 발트해 연안 3국은 모두 옛 소련에 점령됐던 역사로 인해 반러 정서가 강한 곳이다.

발트해 연안 3국은 2004년 EU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에 나란히 가입했다. 이들 나라는 우크라이나 전쟁이 확대될 경우 러시아의 진격 가능성이 큰 지역으로 꼽혀왔다.

한편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군의 대치 상태는 지속되고 있다. 이날 우크라이나군은 러시아 앞바다에 있는 석유와 가스 시추 시설을 미사일로 공격했다.

크림공화국의 수반 세르게이 악쇼노프는 이날 텔레그램을 통해 “오전 8시쯤 적군(우크라이나군)이 체르노모르네프테가스 소유의 시추 시설을 미사일로 공격했다”고 밝혔다. 크림공화국은 2014년 러시아에 병합된 곳이다.

백재연 기자 energ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