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경제가 둔화하더라도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기준금리 인상을 더 오래 지속해야 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연준은 이미 경제전망이 좋지 않다는 점을 인정했지만, 물가대응이 더 급하다는 견해를 재확인했다.
연준이 6일(현지시간) 공개한 6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의사록에 따르면 회의 참석자들은 “경제 전망 상 제약적인 정책 기조로 가는 것이 타당하다”는 데 모두 동의했다. 참석자들은 높아진 물가상승 압력이 지속하면 훨씬 더 제약적인 스탠스가 적절할 수 있을 것이란 가능성도 인정했다.
지난달 14∼15일 열린 FOMC 정례회의에서 연준은 28년 만에 0.75% 포인트 금리를 인상하는 자이언트 스텝을 단행했다. 연준은 그러나 인플레이션이 진정되지 않으면 지난달과 비슷한 수준의 기준금리 인상을 지속할 수 있음을 강조한 것이다. FOMC 위원들은 오는 26~27일 열리는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5~0.75% 포인트 인상하는 게 적절할 것으로 판단했다.
의사록은 “인플레이션 압력이 아직 진정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는 점을 우려했고, 많은 참가자는 인플레이션 압력이 이전에 예상했던 것보다 더 지속적일 것이라는 견해가 굳어지는 것으로 보고 있다”고 언급했다.
FOMC 위원들은 공급망 압박과 강력한 수요가 예상보다 더 광범위하게 지속하고 있어서 물가 상승 압력이 높아지고 있다고 판단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중국의 코로나19 봉쇄 정책 등 공급망을 제한하는 여러 요인 때문에 물가상승률이 연준 목표인 2%까지 내려가는 데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전망도 했다.
FOMC 위원들은 특히 “향후 수년 동안 경제 성장에 대한 불확실성도 높아졌다”고 판단했다. 의사록은 “대부분의 참석자는 경제 성장 전망에 대한 위험이 하방으로 치우쳐 있다고 평가했다”고 설명했다.
FOMC 위원들은 특히 가파른 금리인상이 미국의 경제 둔화를 초래하더라도 금리인상을 통한 물가 안정에 더 방점을 두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의사록은 “회의 참석자들은 (통화) 정책 강화가 한동안 경제성장의 속도를 느리게 만들 수 있다는 점을 인정했지만, 물가상승률을 다시 2%로 낮추는 것이 최대고용 달성에도 매우 중요하다고 봤다”고 설명했다.
의사록에는 ‘인플레이션을 낮추려는 연준 의지에 의문이 제기되기 시작하면 인플레이션 상승이 고착될 수 있다는 점이 연준이 직면한 중대한 위험’이라는 대목도 나온다. FOMC 위원들은 연준 정책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지면 소비자들의 기대 인플레이션마저 높아져 물가 대책에 더 큰 비용이 들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했다. 경기 둔화 고통을 감내하더라도 금리 인상을 통한 물가 대응을 더 우선하겠다는 것이다.
FOMC 위원들은 높은 인플레이션으로 저소득층과 중간 소득 가구가 어려움을 겪고 있고, 이들이 더 저렴한 제품을 구매하는 경향이 나타나기 시작했다는 보고도 확인했다.
의사록에는 ‘인플레이션’이라는 단어가 90번 나왔지만 ‘불황’(recession)은 한 번도 언급되지 않았다. 이에 대해 블룸버그는 “지난달 회의 이후 인플레이션 지표나 경기 지표가 변했다”며 “투자자 일부는 연준의 반복적인 매파적 입장이 시대에 뒤처진 것으로 여기고 있다”고 지적했다.
워싱턴=전웅빈 특파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