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독일 전력난에 허리띠 졸라매기…온수 차단, 공공건물 소등, 분수대도 멈췄다


러시아가 천연가스 공급을 줄이자 독일이 전력난 해소를 위해 각종 대책을 동원하고 나섰다. 온수를 끊고 밤에는 공공건물을 비추는 조명을 끊는 등 불편함을 겪고 있다.

영국 가디언과 스카이뉴스 등 외신에 따르면 28일(현지시간) 독일 북부 하노버시는 전날 러시아의 가스 공급 감축에 대응하는 방법을 발표했다.

하노버시에서는 공공건물의 수영장, 스포츠센터, 체육관의 난방을 끊고 뜨거운 물을 쓰지 않기로 했다. 여름에 켜놓는 공공 분수대도 하나둘씩 가동을 멈췄다. 시청과 박물관 등 주요 건물은 야간에 조명을 켜지 않는다.

또 매년 10월부터 3월까지 어린이집, 학교, 병원 등을 제외한 공공건물의 난방 시간을 단축한다. 가을 겨울철 스포츠 센터와 체육관의 실내 온도는 15도, 그 외에는 20도로 제한하기로 했다.

이동식 에어컨과 히터, 라디에이터의 사용을 금지하고 조명은 전력 소모가 적은 발광다이오드(LED)로 바꾸고 화장실, 주차장, 복도 등에 동작 감지기를 설치하고 이용하는 사람이 있을 때만 불을 켜기로 했다.

베를린을 비롯한 뮌헨과 라이프치히, 쾰른, 뉘른베르크 같은 도시들도 하노버시와 비슷한 조치를 도입하기로 했다. 베를린은 이틀 전부터 야간에 200여개 역사 기념물과 시청 건물을 비추던 조명을 껐다.

벨리트 오나이 하노버 시장은 “상황 예측이 어렵다”며 “모든 1킬로와트시(kWh)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시 에너지 소비량을 15% 줄이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이는 유럽연합(EU)이 밝힌 에너지 감축 목표와 같은 수준이다. 러시아산 천연가스의 최대 수입국인 독일은 이를 주도해야 한다는 주변국의 압박을 받고 있다.

한명오 기자 myung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