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중국 무력시위에 블링컨 미 국무 “위기 조성말라” 경고


중국이 낸시 펠로시 미 하원의장의 대만 방문에 반발해 연일 무력시위에 나서자, 미국이 “위기를 조성하지 말라”며 강력하게 경고하고 나섰다. 일본과 호주도 강한 우려를 표명했다.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외교장관회의 참석을 위해 캄보디아를 방문 중인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은 4일(현지시간) 열린 미·아세안 외교장관회의에서 "중국이 위기를 만들거나 공격적인 군사행동을 늘리려는 구실을 찾으려 하지 않길 희망한다"고 말했다고 외신들이 보도했다.

블링컨 장관의 언급은 중국이 대규모 군사훈련을 시작하는 등 대만을 겨냥한 본격적인 무력 시위에 들어간 이후 나왔다는 점에서 군사 행동을 중단하라는 강력한 촉구로 해석된다.

앞서 카린 장-피에르 백악관 대변인은 전날 브리핑에서 "중국은 미국의 오랜 정책과 일치하는 펠로시 의장의 대만 방문을 위기로 전환할 이유가 없다"며 중국이 펠로시 의장의 방문을 공격적인 군사행동을 늘리려는 구실로 삼고 있다고 비판했다.

블링컨 장관은 "전 세계 많은 국가는 긴장 고조가 누구에게도 도움이 되지 않으며, 아세안 회원국과 중국 등 누구의 이익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 의도치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본다"고 지적했다.

그는 "우린 이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최근 며칠간 중국 카운터파트들과 접촉하려 정부의 모든 수준에서 연락을 취했다"며 "양안의 안정 유지는 아세안 내 모든 우리의 친구를 포함해 역내 모든 국가의 이익"이라고 강조했다.

또 "우린 대만 해협의 평화와 안정에 대해 변치 않는 관심이 있다"며 "특히 무력으로 현상을 변경하려는 어떠한 일방적인 시도에도 반대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미국은 대만관계법, 상호 불간섭 등을 둘러싼 양국 간 합의인 미중 3대 공동성명, 대만의 실질적 주권을 인정하는 6대 보장에 따른 '하나의 중국' 정책에 여전히 전념하고 있다며 "우리 입장은 바뀌지 않았다"고 거듭 밝혔다.

일본 교도통신은 블링컨 장관과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외무상, 페니 웡 호주 외교장관 등 3국 장관도 별도의 회담을 갖고 중국의 군사 활동에 강한 우려를 표명했다고 전했다.

신창호 선임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