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우크라 자포리자 원전 일시 단전…“유럽 방사능 재난 한 걸음 앞”


유럽 최대 규모인 우크라이나 자포리자 원자력발전소가 일시적으로 단전됐다. 근처 포격에 따른 화재로 송전선이 훼손됐기 때문이다. 이번 화재를 두고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서로의 소행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AP통신은 25일(현지시간) 자포리자 원자력발전소 인근 야산에서 발생한 화재 영향으로 발전소와 외부를 연결하던 마지막 송전선이 훼손됐다고 보도했다. 자포리자에 있는 송전선 총 4개 중 3개가 이미 이번 전쟁으로 훼손돼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던 상태였다.

마지막 송전선이 훼손되면서 자포리자에서 가동 중이던 2개 원자로와 우크라이나 전력망 연결이 차단됐다. 자포리자 지역 전력 공급도 그 즉시 중단됐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유럽과 우크라이나를 방사능 재난 한 발짝 앞으로 몰아붙였다”고 러시아를 비난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심야 연설에서 “러시아군의 공격에 마지막 송전선이 훼손돼 사상 처음으로 자포리자 원전이 멈춰섰다”며 “디젤 발전기가 즉각 가동해 발전소 자체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했다”고 말했다.

그는 “얼마나 위험한 상황인지 전 세계가 알아야 한다”며 “디젤 발전기가 가동하지 않았거나 발전소 직원들이 전력 차단에 즉각 대응하지 못했다면 우리는 이미 방사능 사고를 감당하고 있었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AP통신은 원자로 냉각을 위한 전력 공급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다면 최악의 원전사고 원인이 되는 ‘원자로 노심용융’(멜트다운)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원전 단지에서 사용후 핵연료봉을 냉각하는 저장 수조 역시 포격에 매우 취약하다. 사용후 핵연료봉은 일정 기간 강한 방사능이 발생해 저장시설 밖으로 유출되는 경우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러시아 국방부는 우크라이나군이 자포리자 원전에 포격을 가해 벌어진 일이라고 주장했다. 러시아 관영 리아노보스티 통신은 우크라이나 부대가 송전선을 훼손한 뒤 전력을 끊었다고 보도했다. 러시아 점령군 측 자포리자 행정당국 책임자 예브게니 발리츠키도 우크라이나군 때문에 자포리자 전역에 정전이 발생했다고 주장했다.

실제 누가 포격했는지는 밝혀지지 않고 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서로 책임을 떠넘기는 가운데 양측 모두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시찰을 촉구하고 있다. 라파엘 그로시 IAEA 사무총장은 프랑스-24 방송과 인터뷰에서 “매우, 매우 빨리 그곳(자포리자)에 갈 수 있기를 바란다”며 구체적 시기에 대해서는 “수일 내”가 될 것이라고 답했다.

백재연 기자 energ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