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흐트러진 ‘톱시크릿’ 문건… 커지는 트럼프 기밀 유출 논란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자택에 보관하고 있던 국가 문서를 “모두 돌려주었다”고 FBI(연방수사국)에 거짓말을 한 뒤 당국이 찾고 있던 문서를 빼돌려 다른 곳으로 숨겼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31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미 법무부는 법원에 제출한 소명서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마러라고 자택에 보관돼 있던 국가 문서들이 제거 또는 은폐됐을 가능성이 있다”며 “수사를 방해하려는 시도일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했다. 법무부는 트럼프 측 변호사 2명이 모든 문서를 정부에 반환했다고 허위로 주장했다는 증거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트럼프 측 변호사인 크리스티나 밥과 에반 코코란도 수사 대상이 될 것이라고 WP는 보도했다. 두 사람은 기밀문서 반납과 관련해 정부와 소통해온 만큼 이들이 수사를 받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지난 6월 FBI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자택인 마러마고 리조트에 들어가 38건의 기밀문건을 찾아냈는데 이 중 17건이 ‘톱 시크릿’이었다. 당시 트럼프 측 변호사는 “마러라고에는 더 이상 국가문서나 기밀문건이 없다”는 서약서를 FBI에 제출했다. 그러나 FBI는 이를 믿을 수 없다고 보고, 추가 수색을 진행했다.


결국 FBI는 8월 추가 수색에서 33통과 100여건의 기밀문서를 압수했다. 동시에 6월 목격했던 박스들이 본래 있던 장소에서 치워져 다른 곳으로 옮겨져 있는 것을 확인했다. FBI는 트럼프 측이 고의로 기밀문서 등을 숨겼다고 보고 있다. 다른 곳으로 빼돌린 ‘톱 시크릿’ 등 기밀문건은 100건이 넘는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법무부가 서류 마지막에 첨부한 지난 8일 압수수색 당시 사진에서 톱 시크릿 문건이 바닥에 흐트러져 있는 모습이 공개되며 논란은 더욱 커졌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FBI의 수사가 ‘정치 수사’라며 FBI의 문서 조사가 아닌 별도의 중립적 전문가로 구성된 특별 조사관을 임명하라고 요구했다. 그러나 법무부는 문서 조사를 위해 어떤 특별조사관 임명도 필요치 않고, 오히려 특별 조사관 임명이 수사를 방해할 것이라고 반박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날 트위터를 통해 “마러라고 습격 당시 FBI가 서류를 마구잡이로 바닥에 던지고 대중이 볼 수 있도록 사진 찍은 방식은 끔찍하다”며 “이미 기밀 해제된 문서라 문제가 없다”고 주장했다.

WP는 “문서에 대한 정보가 공개될 경우 국가 안보에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으므로 트럼프 측의 주장은 강력한 방어 수단이 아닐 수 있다”고 분석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문서를 유출·은폐한 사실이 인정되면 간첩죄보다 형량이 2배 무거운 사법방해 혐의가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트럼프 전 대통령의 기소가 현실로 이뤄질지는 미지수다. FBI가 전 대통령을 기소한 전례는 없다. 변호사이자 FBI 고위 관리인 척 로젠버그는 “일반적인 경우보다 훨씬 더 촘촘한 증거가 필요하다”며 “강력한 증거와 함께 범죄 혐의 또한 심각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박재현 기자 j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