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달러 강세에 미국인들 헐값 된 유럽 부동산 ‘사재기’ 열풍


미국 달러화가 강세를 지속하고 있다. 유로화 대비 가치가 약 20년 만에 최고 수준을 찍자 미국인들이 상대적으로 저렴해진 유럽 부동산 쇼핑에 몰려들고 있다고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일(현지시간)이 보도했다.

미국 플로리다주에 사는 한 여성 인테리어 디자이너는 오랫동안 그리던 파리에 ‘여가 주택’를 장만했다. 그는 이번에 75만8000 달러(약 10억2000만원)를 들여 파리 중심가인 8구에서도 센 강과 샹젤리제 거리 사이의 최고 번화가에 43㎡ 넓이의 집을 장만했다.

그는 이 집을 업무용이나 휴가용으로 쓸 계획이라면서 이번 달러 강세로 구매를 결정하게 됐다고 말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최근 유로화가 전면 도입된 2002년 7월 이후 사실상 처음으로 유로/달러 환율이 1달러 아래로 내려갔다. 이 기간 평균 환율은 1.24 달러로 현재 유로화 표시 자산은 평균 대비 약 20% 저렴해졌다. 특히 유럽경제가 침체할 것이라는 우려 속에서 이러한 흐름이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영국 부동산 정보업체 나이트 프랭크의 ‘글로벌 주거 지수’(Global Residential Index)에 따르면 지난 1분기 영국 런던과 프랑스 파리의 집값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했을 때 5%도 오르지 않았다. 그러나 미국 애리조나주 피닉스 등지는 이 기간 29% 넘게 뛰어올랐다.

미국인들이 비싸진 미국 집값에 영국 런던, 프랑스 파리, 이탈리아 토스카나 등 평소 꿈꿔왔던 유럽 각지의 부동산들을 매입하고 나선 것이다.

영국 한 부동산업체 관계자는 “파운드화 약세에 따라 달러로 런던 부동산을 구매하기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가장 좋아졌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미국인들이 런던 부촌인 메이페어, 첼시 등의 고급 주거지를 선호한다”고 덧붙였다.

이탈리아의 모 부동산업자는 “미국인들이 이탈리아 남부에서 중부에 이르기까지 모든 곳에 돈을 물 쓰듯 쓰고 있다”며 “이들의 집 구매 예산은 200만 달러(약 27억1000만원)정도인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한명오 기자 myung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