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른 한국산 전기차 차별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방미 중인 안덕근() 통상교섭본부장이 한·미 간 관련 협의 채널을 장관급으로 가동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안 본부장은 5일(현지시간) 미 워싱턴DC 인근 덜레스공항에서 기자들을 만나 “캐서린 타이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의 회동이 이번 사안에 대한 양국 간 각료급의 첫 만남”이라며 “실질적으로 해결할 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안 본부장은 단일 협의 채널 추진과 관련해 “제가 범정부 합동대책반 반장이고, 미국도 USTR이 맡는 게 맞는다고 본다”며 “최대한 이른 시일 내에 채널을 가동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안 본부장과 타이 대표가 각각 대표를 맡는 고위급 협의를 진행할 것임을 시사한 것이다.
안 본부장은 “타이 대표도 사안의 심각성을 잘 알고 있을 것”이라며 “한·미 간 경제통상 관계를 발전시키고 유지하려면 이 사안이 잘 해결돼야 한다고 얘기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근본적으로는 (IRA) 법안 개정이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며 “시간이 걸리는 경우 그때까지는 행정부 차원에서 보완할 수 있는 여러 조치를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미측에 법안 개정을 요구하겠지만 입법 사안이어서 조기에 진행되기 어려운 상황인 만큼 다양한 보완 조치를 동시에 추진하겠다는 의미다.
안 본부장은 “방미 기간 백악관, 상무부, 상원·하원, 싱크탱크 등 관련 기관과도 잇따라 접촉할 것”이라며 “우리 입장이 향후 의회와 행정부에서 적극적으로 반영되도록 최대한 넓게 만나 의견을 전달할 것”이라고 했다.
그는 유럽연합(EU) 독일 영국 일본 스웨덴 등 IRA로 인한 피해가 예상되는 국가와의 공동대응과 관련해서도 “유럽, 일본은 사실상 우리와 거의 같은 상황이어서 입장을 공유하고 필요하면 정부 간 협력과 기타 법적 절차 등을 공조하는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또 “IRA는 한·미 간 산업통상 관계에서 굉장히 중요한 시금석이 되는 사안”이라며 “이런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메시지를 전하고 만족할 만한 해결책을 찾도록 최대한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은 미국 노동절인 이날 위스콘신주 밀워키를 방문해 한국의 투자를 거론하며 제조업 부활 의지를 피력했다. 그는 “한국 기업 대표가 나에게 미국에 오려는 이유를 무엇이라고 설명했는지 아느냐”며 “우리는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환경과 가장 우수한 노동자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워싱턴=전웅빈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