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일(현지시간) 러시아 수도 모스크바 크렘린궁 앞 ‘붉은광장’. 가벼운 옷차림의 모스크바 시민들이 광장 한복판에 도열한 여러 나라 군악대의 연주에 열광하고 있었다.
러시아 중국 베트남 이집트 등의 군악대가 참가한 세계군인축제는 군악은 물론 댄스곡까지 연주하며 시민들의 흥을 돋우었다. 휴일을 즐기는 시민들의 얼굴엔 6개월 이상 이어진 우크라이나 전쟁의 긴장 같은 건 엿볼 수 없었다. 밤이 되자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 집무실이 위치한 크렘린궁과 바로 앞 성바실리대성당 위 하늘은 형형색색의 불꽃탄이 수놓고 있었다.
같은 시간 모스크바 외각 니콜라레니베츠 예술공원에는 젊은이 1만6000여명이 모여 파티를 즐겼다. 이 공원에선 나흘째 러시아 전역에서 모여든 패셔니스타들이 전위예술, 대중음악, 미술 등 공연을 보며 술을 마셨다.
뉴욕타임스(NYT)는 6일 ‘모스크바에 전쟁은 없다’는 제목의 르포 기사를 게재했다. 기사에 따르면 러시아군이 서방제 무기로 무장한 우크라이나군에 밀려 우크라이나 남동부 전선에서 고전을 면치 못하는 와중에도 모스크바 시민들은 전쟁과 전황에 전혀 관심을 두지 않았다고 한다.
세계군인축제를 보기 위해 붉은광장을 찾은 한 모스크바 시민은 기자의 질문에 “전쟁이야 당연히 우리가 이길 테고, 우리는 평소처럼 축제를 즐기고 일상을 편안하게 살아가고 있다”고 답했다.
서방의 경제 제재로 럭셔리 브랜드에서부터 맥도날드 같은 대중 브랜드까지 서방 기업이 대부분 철수했지만 모스크바 시민들의 소비는 위축되지 않고 있다. 맥도날드 간판을 내리고 러시아 토종 업체의 간판을 건 햄버거 가게에는 새벽까지 손님이 끊이지 않는다. 샤넬 크리스챤디올 루이비통 등의 브랜드가 입점했던 고급 쇼핑몰도 성업 중이다.
성바실리대성당 인근의 최고급 유기농 마켓에는 값비싼 캐비아와 유기농 수박을 사기 위해 장사진을 치는 풍경이 며칠째 이어진다. NYT는 “모스크바 시민들은 푸틴 정권의 애국주의 홍보만을 믿고 있다”면서 “이들에게 전쟁은 마치 남의 나라 얘기인 듯하다”고 전했다.
신창호 선임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