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한·미·일, 비상시 반도체 희토류 공유 체제 생긴다


미국 주도로 지난 5월 출범한 새 경제 플랫폼인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 참가 14개국이 유사시 반도체와 희토류 등의 재고를 융통하는 체제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첨단 정보통신(IT) 제품의 필수 부품인 반도체와 전기자동차용 배터리의 필수광물인 희토류를 참가국끼리만 공유해 중국에 대항하겠다는 의도란 것이다.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은 8일(현지시간)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리는 IPEF 첫 장관회의 성과물인 성명에 ‘공급망의 위기관리 메커니즘 구축’ 목표가 포함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신문은 “반도체, 의료용 방호복, 희토류, 배터리 등을 염두에 두고 이 목표를 설정했으며, 구체적인 구조나 대상은 앞으로 교섭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IPEF 참가국 가운데 한국과 미국, 일본을 합치면 전 세계 반도체 생산능력의 절반 가량이 된다. 미국 호주 인도의 희토류 생산량도 전 세계 생산량의 30% 가까이나 된다.

신문은 “군사 충돌이나 감염병 확산으로 물류가 멈춰도 우호국 간에 (이들 부품과 광물자원을) 융통해 공급망의 안정성을 높이고 중요 물자를 외교·안전보장의 무기로 사용하는 중국에 대항할 것”이라면서 “IPEF 참가국이 각국의 우위성을 살려 보완 관계를 만들려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IPEF에는 한국과 미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 인도와 동남아국가연합(ASEAN·아세안) 회원국인 브루나이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 피지 등 14개국이 참여하고 있다.

8∼9일 회의에서는 공식 협상 개시를 앞두고 14개 참가국의 장관(급)이 참석해 IPEF 4대 의제인 무역, 공급망, 청정경제, 공정경제 등의 협상 범위와 의제를 논의한다.

신창호 선임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