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정보유출?’ 월가 블록딜 직전마다 주가 하락

AP뉴시스

미국 월가에서 블록딜(장외 대량매매) 직전 주가가 급락한 사태가 10건 중 6건에 달한다는 보도가 나왔다. 미 연방정부는 대형 투자은행들이 비밀 유지 의무를 위반하고 대량매매 정보를 미리 흘렸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조사에 착수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018~2021년 사이 진행된 393건의 블록딜을 분석할 결과 58%의 경우 직전 거래일에 해당 주식 가격이 하락했다고 3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블록딜은 주식을 대량으로 보유한 매도자가 사전에 매도 물량을 인수할 매수자를 구해 시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장이 끝난 이후 지분을 넘기는 거래를 말한다. 장중 주가 급락은 피할 수 있으나 통상 다음날 주가가 하락할 확률이 높다.

매체는 “마치 다른 투자자들이 무슨 일이 일어날지 알고 있는 것처럼 대주주의 블록딜 직전 주가가 급락했다”며 베인캐피탈의 캐나다구스 주식 블록딜, 3G캐피탈의 크래프트 헤인즈 주식 블록딜, 아폴로 글로벌 매니지먼트의 노르웨이지안 크루즈라인 홀딩스 주식 블록딜 등의 사례를 언급했다.

WSJ는 금액 확인이 가능했던 268건의 블록딜을 분석한 결과 만약 주식 가격이 전체 주가지수와 비슷하게 움직였다면 매도인들은 총 3억8200만 달러(4628억원)를 더 받을 수 있었다고 전했다.

WSJ는 이처럼 지속적으로 블록딜 직전 주가 하락 현상이 나타나는 것은 기밀로 유지해야 할 거래 정보가 샜기 때문일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블록딜 직전 주가 하락 현상이 통상 매도인이 은행들에 대량매매 계획을 알리는 시간대인 늦은 오전이나 이른 오후에 주로 시작된다는 점도 투자은행들의 정보 유출 가능성에 힘을 싣는다고 매체는 분석했다.

이런 패턴이 반복되자 미 증권거래위원회(SEC)는 대량매매를 중개하는 투자은행들이 헤지펀드 등 가까운 고객들에게 정보를 흘렸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다수의 대형은행과 헤지펀드에 거래 기록과 전자 통신 내역 제출을 요구한 상태다. 연방 법무부도 모건스탠리를 비롯한 대형 투자은행들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

황인호 기자 inhovato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