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미 중산층까지 번진 생활비 위기…저가 매장에 몰린다


높은 인플레이션과 경기침체 우려가 미국의 저소득·중산층 위기를 키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질소득 감소로 생활비 위기를 겪고 있는 인구가 크게 늘었고, 가용 자금이 부족해 공과금 체납 사례도 급증했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공격적인 금리 인상이 경기침체를 부추길 수 있다는 우려도 커졌다.

미국 전역 200개의 푸드뱅크 네트워크인 ‘피딩어메리카’는 소속 단체 90%에서 지난 6월 긴급 식품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다고 31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는 전월보다 15% 증가한 수치다. 대부분 지역 푸드뱅크가 구매 비용이 늘어 식품 지급량이 줄었고, 기부도 지난 4개월 동안 감소했다고 보고했다.

미 경제매체 마켓워치는 “최근 조사에서 2000만 가구 이상이 30~90일 동안 공과금을 체납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중 다수는 저소득 소비자였다”고 보도했다. 연 소득 5만 달러 미만 가구의 3분의 1은 지난 6월 생활비 지출에 어려움을 겪었다고 답했다. 5만~10만 달러 가구 17%도 생활비 지출 어려움을 토로했다.

인플레이션이 장기화하면서 생활비 위기는 중산층으로 확대되고 있다. 저가상품 소매 체인인 달러제너럴 토드 바소스 최고경영자(CEO)는 “젊은 소비자나 중산층 고객이 매장에 새로 유입되고 있다”고 말했다. 달러제너럴의 주 고객은 연 가계소득이 4만 달러 수준인 저소득층이 주 고객인데, 최근에는 연 소득 5만~7만5000달러인 고객이 신규 유입되고 있다는 것이다. 바소스 CEO는 “신규 유입 고객 일부는 연 소득 10만 달러 계층”이라고 소개했다.

미국의 ‘다이소’로 불리는 달러트리의 마이크 위친스키 CEO도 지난주 투자자들에게 “지난 1년 동안 새로 유입된 고객 대부분은 연 소득이 8만 달러 이상인 가구였다”고 말했다. 인플레이션으로 생활비 압박을 받는 중산층이 대거 저가 상품 구매로 눈을 돌리고 있다는 의미다.

글로벌 시장 조사 회사인 모닝컨설트 스콧 브레이브 연구원은 “인플레이션 충격은 저소득층에 즉각적으로 왔고, 현재 중산층으로 전이되고 있다”며 “(충격이) 어디까지 더 올라가게 되는지 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준의 긴축에 따른 경기 침체 우려도 커졌다. ADP 전미 고용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의 8월 민간 부문 고용은 전월보다 13만2000명 증가하는 데 그쳤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30만 명 증가)를 크게 밑돌았다. 지난 7월(27만 명 증가)의 절반 수준이다.

넬라 리처드슨 ADP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미국 민간부문 고용 증가 속도가 보수적으로 바뀌는 추세”라고 말했다.

뉴욕증시는 4거래일 연속 하락세로 마감했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4.1%),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4.2%), 나스닥지수(-4.6%) 등 주요 지수는 8월에만 4% 이상 하락하며 얼어붙었다. 로이터는 주요 3개 지수의 8월 성적이 2015년 이후 7년 만에 가장 낮다고 설명했다.

스티브 행크 미 존스홉킨스대 응용경제학 교수는 이날 트위터에 “연준의 무능과 잘못된 관리 탓에 미국 통화 공급이 폭발적으로 증가해 인플레이션이 발생했고, 이제 붕괴하고 있다”며 “2023년 미국에 엄청난 경기 침체를 초래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워싱턴=전웅빈 특파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