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킹달러'에 흔들리는 美 제조업.. 되살아나나 싶었더니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공격적인 기준금리 인상과 함께 달러의 강세가 계속되면서 미 제조업체들이 위기에 직면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어제(9일) 달러화의 강세가 부활 조짐을 보이는 미 제조업체들의 경쟁력을 저하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달러가 유로화나 엔화, 영국 파운드화 등 기축통화뿐 아니라 다른 국가들의 통화보다 가치가 크게 오르면서 미국 제조업체들은 수출이 불리해졌고, 외국 공장에서 생산한 상품을 판 수익을미국으로 들여올 때도 환차손에 노출됐다는 것이다.

미국의 가정용 전자기기 제조업체인 월풀의 경우2분기 유럽과 중동·아프리카의 매출이1년 전과 비교해 19% 감소했다.

매출의 절반 이상을 유럽과 중동에서 올리는 조지아주의 농업 기기 생산업체 애그코의 경우 올해 상반기에 강달러로 인한 환차손 탓에 매출의 8.5%가 사라졌다.

이에 따라 애그코의 상반기 전체 매출도 전년도 같은 기간에 비해 3.1% 감소했다.

전 세계적인 경기둔화 현상 탓에 소비자들이 지갑을 닫고 있는 상황에서 달러화의 강세가 미 제조업체의 어려움을 증폭시키고 있다는 이야기다.

금융투자업체인 RBC 캐피털 마켓은 최근 미국의 대표적인 제조업체인 3M의 경우 해외 매출이 5.1% 감소할 것이라는 예측을 내놨다.

또 미국의 냉난방기기 제조업체 캐리어는 3.4%, 제너럴 일렉트릭(GE)은 2%의 해외 매출 감소가예상된다는 것이 RBC 캐피털 마켓의 분석이다.

이에따라 외국시장뿐 아니라 전국 시장에서도미 제조업체가 불리하게 됐다.

이는 강달러 효과로 외국에서 생산한 수입품의 가격 경쟁력이 강화됐기 때문이다.

미 제조업체들의 이익단체인 '리쇼어링 이니셔티브'의 해리 모저 대표는 강달러 현상으로 수입품이 더 잘 팔리게 된다면미 제조업체들의 국내 투자가 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모저 대표는 달러 강세는 미 제조업체들의 힘을 약화하고 있다며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