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10일)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키예프)에 미사일 공습으로 추정되는 큰 폭발이 발생하면서 러시아군이 이틀 전 발생한 크림대교 폭발 사고에 대한 보복 수위를 가파르게 끌어올렸다는 분석이 나온다.
전날 우크라이나 남동부의 자포리자의 민간인 주거 시설을 공격했던 러시아가 하루 만에 우크라이나의 심장부인 키이우를 직접 타격한 것은 크림대교 폭발 사고 직후 제기된 러시아 측의 보복 가능성이 헛말이 아님을 분명히 드러낸다는 평가다.
지난 8일 오전 발생한 크림대교 폭발 사고는 러시아로선 뼈아픈 일격으로 여겨진다.
러시아 본토와 크림반도의 물리적 통합을 상징하는 크림대교가 파손된 것은 가뜩이나 전황이 뜻대로 풀리지 않는 점이 못마땅했던 푸틴 대통령을 크게 자극했을 것으로 보인다.
아직 폭발 사고의 경위나 배후가 분명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러시아는 우크라이나가 벌인 일이라고 규정한 상태다.
이날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를 공격한 건 지난 4월 중순과 전후 사정이 비슷하다.
당시 러시아 흑해함대 기함인 모스크바호가 우크라이나 미사일에 격침되자 러시아군은 수도 키이우를 비롯한 우크라이나 여러 지역에 수일에 걸쳐 미사일을 퍼부었다.
이번에는 크림대교에서 폭발이 발생하자 수도 키이우와 서부 르비우, 중부 드니프로 등 주요 거점을 잇달아 타격하는 방식이라는 점에서 유사성이 드러난다.
체면을 구기게 되면 대규모 보복 공격으로 만회하려는 행태를 되풀이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