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정부가 일제 강제징용 노동자 배상 소송 문제의 해법으로 패소한 일본 기업의 배상금을 한국 재단이 대신 내는 방안을 중심으로 본격적인 협의에 들어갔다고 일본 교도통신이 23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한국 기업이 강제징용 노동자를 지원하는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에 기부금을 내고 재단이 일본 기업 대신 배상금을 지급하는 방안이 유력하다.
일본 정부도 한국 재단이 대납하는 방안이라면 수용 여지가 있다고 판단해 세부 내용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교도통신은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한·일 정부가 오는 11월 인도네시아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일 정상 간 대화도 검토하고 있다”며 “(강제징용 해법 관련) 협의에 속도를 내 이르면 연내도 시야에 놓고 매듭을 짓는 것을 목표로 한다는 자세”라고 전했다.
이날 외교부는 강제징용 해법과 관련한 교도 통신의 보도 내용에 대해 “특정한 하나의 방안을 놓고 일본과 협의 중인 것은 아니며 아무것도 결정된 바 없다”고 밝혔다.
외교부 관계자는 “정부는 그간 민관협의회에서 논의된 사항들과 직접 피해자분들로부터 경청한 목소리 등 그간 수렴한 피해자 측 입장을 일본에 전달하고 성의 있는 호응을 촉구해왔다”며 “그간 국내적으로 수렴한 대법원 판결 이행과 관련된 다양한 의견을 충분히 고려해 합리적인 해결방안을 검토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백재연 기자 energ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