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수세 몰린 러시아… “우크라 보내려 아프간 용병 모집”


전황 악화로 수세에 몰린 러시아군이 탈레반 집권 이후 버려진 전직 아프가니스탄 특수부대원들을 모집하고 있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

미국 외교전문매체 포린폴리시(FP)는 25일(현지시간) 러시아 정부가 아프간 육군 특수부대 ‘특전군단’ 대원들에게 러시아군에 가세해 우크라이나전에 참전하라는 제안을 건넸다고 전했다.

아프간 특전군단은 미군의 훈련을 받고 약 20년간 미국과 다른 서방 동맹국 소속 특수부대와 함께 대테러작전을 수행한 정예부대다. 이들은 이슬람 극단주의 무장단체 탈레반 등과 싸워왔으나 지난해 8월 탈레반이 아프간을 점령한 뒤 패잔병 신세로 전락해 더는 활동하지 않고 있다.

현재 약 2만~3만명의 특공대원들이 소속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아프간의 친미 중앙정부가 붕괴하면서 수백명의 고위장교들은 탈레반의 보복을 피해 미국 등 해외로 도피한 것으로 전해졌다. 병사 수천명도 인근 국가로 도주하거나 아프간에서 신분을 숨긴 채 지내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런 상황에서 숙련된 전투력을 갖춘 아프간 특공대원들이 러시아군의 포섭 대상이 된 것이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남·동부 전선의 점령지를 빼앗기는 등 수세에 몰린 상황에서 용병으로 활약할 수 있는 아프간 특공대원에게 눈독을 들이고 있다.


아프간 특전군단 장교를 지낸 전직 관리는 FP에 러시아의 민간용병기업 ‘와그너그룹’을 아프간 특수부대원 모집의 배후로 지목했다. 이 관리는 “와그너그룹이 여러 곳에서 사람들을 모으고 있다. 이는 추정이 아니라 확인된 사실”이라고 주장했다.

실제로 일부 아프간 특수부대 출신 병사들이 왓츠앱이나 시그널 등의 메신저 앱을 통해 러시아군으로부터 우크라이나에서 싸울 ‘외국 군단’에 참여하라는 제안을 받았다고 밝혔다. 아프간 군사·안보 소식통은 최대 1만명의 전 아프간 특공대원들이 러시아 측 제안에 응할 것으로 추산했다.

FP는 이들이 ‘게임 체인저(game changer)’가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만일 이들이 러시아군 편에 가세한다면 러시아군에 불리하게 돌아가는 전쟁 흐름을 뒤바꿀 수 있다는 평가다.

FP는 다른 군사 소식통 발언을 인용해 “그들은 조국을 잃었고, 직업도 장래도 없다. 더는 잃을 것이 없다”면서 아프간 특수부대원들이 러시아의 제안에 끌리는 이유를 설명했다. 이어 “그들은 파키스탄이나 이란에서 하루 3~4달러를 받고도 일하고 싶어한다”며 “와그너그룹이 ‘전투원이 되면 1000달러를 주겠다’고 하면 분명 거절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프간에 은신 중인 35세의 전 특전군단 대위는 다수의 예전 동료들이 이란에 있는 러시아 측 용병 모집 사무소와 연락하도록 도와줬다고 FP에 전했다. 모집에 응한 대원들은 아프간에서 이란으로 간 뒤 러시아로 들어갔다고도 했다. 다만 그는 본인은 와그너그룹의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았다며 옛소련 시절 아프간을 침공한 러시아를 적이라고 여기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송태화 기자 alvin@kmib.co.kr